배터리 소재는 품목별로 수익성 희비가 교차됐다.
양극재는 리튬 등 금속 가격이 하락하며 수익성 개선에 실패하고 동박은 수요 위축 및 공급과잉으로 부진이 이어진 반면, 분리막은 수익 개선 흐름이 본격화된 것으로 파악된다.
LG화학,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비엠 등 양극재 생산기업들은 2분기 영업이익이 다소 저조했다.
LG화학 첨단소재 영업이익은 184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5.0% 급감했으며, 포스코퓨처엠 영업이익은 521억원으로 5.6% 감소했다.
에코프로비엠은 영업이익이 1147억원으로 11.5% 증가했으나 전망치를 5% 하회했고, 엘엔애프는 영업이익이 30억원으로 95.0% 격감했다.
양극재 가격에는 리튬, 코발트, 니켈 등 금속 가격이 반영되며 최근 금속 가격이 급락함에 따라 이미 고가에 원료를 구매한 양극재 생산기업들이 판매가격을 낮추어야 해 수익이 악화된 것으로 파악된다.
3분기에도 금속 가격 하락분의 판매가격 반영이 계속될 가능성이 높으나 증권사들은 양극재 생산기업들이 대규모 수주를 바탕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승재 DB투자증권 연구원은 LG화학 양극재 사업에 대해 “금속 가격 추가 하락이 없다면 양극재 변동성은 4분기 이후 정상화될 것”이라며 “양극재 및 배터리 소재 사업은 중장기 물량 성장세에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동박 생산기업들도 저조한 영업실적을 기록했다.
동박은 전기자동차(EV) 배터리 음극집전체에 사용되며 최근 계절적 비수기로 신차 출시가 둔화된 가운데 중국발 물량 공세로 공급과잉이 이어졌고 전력 요금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커지며 수익성이 악화됐다.
SKC 동박 자회사인 SK넥실리스는 2분기 영업이익이 4억원으로 98.6%,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15억원으로 94.0% 격감했다.
반면, 분리막은 영업이익 개선 흐름이 본격화되고 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는 2분기 영업이익 9억원을 달성하며 6분기 연속 적자행진을 멈추었으며, 더블유스코프(WCP)는 영업이익이 167억원으로 14.0% 증가했다.
이안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SKIET가 그동안 저조한 가동률로 수익성이 저조했으나 2분기를 기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며 “수요기업 다변화를 통한 가동률 상승으로 앞으로도 빠르게 이익률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WCP는 주요 수요기업의 가동률 안정화로 20% 이상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분리막은 배터리 폭발 방지를 위해 양극, 음극이 닿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하며 장기간 까다로운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해 진입장벽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2030년에는 생산능력 기준으로 국내기업들이 북미‧유럽 분리막 시장점유율 75%를 장악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