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합작법인도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미국 재무부가 12월1일(현지시간) IRA의 전기자동차(EV)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는 해외 우려기업(FEOC: Foreign Entities of Concern)에 중국 정부와 관련된 합작기업 지분율이 25% 이상인 곳을 포함했으며 지분율 조정에 따른 국내 배터리 산업계의 추가 부담이 우려되고 있다.
최근 국내기업이 안정적인 원료 공급처 확보를 위해 중국기업과 합작기업을 활발하게 설립했기 때문이다.
LG화학은 중국 화유코발트(Huayou Cobalt)와 1조2000억원을 투자해 새만금에 배터리 전구체 합작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며, 화유(Huayou) 그룹과 양극재 공급망에 대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화유그룹 산하 유산(Youshan)과 모로코에 2026년 양산을 목표로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5만톤 합작공장을 건설한 후 LFP 양극재를 북미 지역에 공급할 계획이다.
아프리카 모로코는 LFP 양극재 핵심 원료인 인 광석이 글로벌 매장량의 73% 수준인 500억톤 매장돼 있으며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IRA 보조금 요건을 충족한다.
LG화학은 FEOC 세부 규정 발표에 따라 합작법인 지분 비율 조정 등 대응책을 마련할 방침이나, 중국의 투자 지분을 낮추기 위해 수천억원을 더 투자하는 등 추가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LG에너지솔루션도 2023년 초 중국 리튬화합물 생산기업 야화(Yahua)와 모로코에서의 수산화리튬 생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으며 화유코발트와는 첫 한국-중국 합작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을 세우기로 했다.
다만, 화유코발트와의 합작법인에서 생산할 물량은 중국 내부에서 소화할 수 있고 야화와는 아직 MOU 단계여서 FEOC 세부 규정 발표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된다.
배터리 관계자는 “중국기업 지분을 매입하는 등 탄력적인 운영이 가능하나 지분 허용 범위가 25%에 그쳐 투자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2월2일 오후 장영진 산업부 1차관 주재로 민관합동회의를 열고 IRA의 FEOC 세부 규정안 발표가 국내 배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FEOC 규정 발표를 계기로 공급선 다변화와 배터리 소재 자립에 성공한다면 배터리 시장 최대 경쟁자인 중국을 제칠 기회가 될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김진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