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기업들은 지속가능 항공유(SAF) 개발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AF는 탄소 배출량을 기존 원유 베이스 항공유 대비 80% 감축 가능하며 UN(유엔) 산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코르시아(CORSIA) 규제를 통해 2027년부터 사용을 의무화할 예정이어서 초기 시장 형성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는 기존 항공유에 SAF를 혼합하는 비율을 순차적으로 높여나가는 방식으로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어 유럽, 미국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EU(유럽연합)는 기존 항공유에 SAF를 혼합하는 비율을 2025년 2%, 2030년 6%, 2035년 20%, 2050년 70%로 확대할 예정이며,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세부규정을 통해 SAF에 세액공제 혜택을 주기로 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 SAF 시장은 2021년 7억4550만달러(약 9695억원)에서 2025년 100억달러(약 13조원), 2027년 215억달러(약 27조9607억원)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다만, 국내에서는 GS칼텍스가 대한항공과 실제 항공기를 대상으로 실증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고, SK이노베이션과 HD현대오일뱅크가 SAF 개발에 관심을 나타내고 있으나 바이오 원료 확보에 어려움이 커 상용화 속도가 더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미국 IRA 세부규정에 따라 일반 항공유가 받을 타격이 우려됨에 따라 SAF 개발 및 상용화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은 IRA를 통해 석유 베이스 항공유와 비교해 50% 이상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 항공유 생산기업에게 갤런당 1.25-1.75달러의 세액공제 혜택을 부여할 계획이다.
온실가스를 50% 줄이면 1.25달러의 세액공제를 받으며 온실가스 감축률이 1% 높아질 때마다 0.01달러의 추가공제 혜택이 적용된다.
결과적으로 SAF 등 친환경 항공유 가격을 낮추어 순차적으로 기존 석유 베이스 항공유를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정유기업들은 IRA 세부규정 결정에 따라 항공유 사업에서 타격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미국 에너지정보국(EIA)에 따르면, 미국은 2023년 한국산 항공유(등유 베이스 제트유) 수입량이 일평균 6만4000배럴로 전체 수입량 12만배럴의 절반 이상이었다. (강윤화 책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