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음식물 쓰레기·건설폐자재 재활용품 GR마크 인증
산업자원부는 음식물 쓰레기 및 건설폐자재 재활용제품에도 우수재활용제품 품질인증마크를 부여할 방침이다. 그동안 음식물 쓰레기는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건설폐자재는 무단폐기에 따른 국토훼손의 주범으로 인식돼왔다. 최근 음식물 쓰레기 및 건설폐자재를 재활용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지만 소비가 부진해 활성화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에 산자부는 음식물 쓰레기 및 건설폐자재 재활용제품 중 우수제품만을 발굴해 인증함으로써 소비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해 재활용을 촉진할 방침이다. 산자부는 가축사료의 품질평가 기준으로 활용되는 GR규격을 확정할 때 최근 세계적으로 광우병이 핫이슈인 점을 감안해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별로 해당 사료를 먹일 수 있는 동물과 먹일 수 없는 동물을 등급화하기로 했다. GR마크 인증제도는 재활용제품의 수요기반 확충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그동안 254건의 신청을 받아 123건(101개사)이 인증됐다. 산자부와 GR협회의 노력으로 GR 인증제품은 조달청, 국방부 조달본부, 농협중앙회 등 각급 조달기관에서 최우선으로 구매되고 있어 인증을 획득한 기업의 매출이 급증하고 있다. 정부의 각종 포상에서도 GR 인증제품이 가장 우수한 제품으로 인정돼 2000년 조달청 「물자사랑」 포상대상에서 제일CPC가 석탑산업훈장(1위)을, 에이비에이가 대통령상(2위)을 수상한 바 있다. 우수재활용제품 품질인증(GR인증)제도는 사용가능한 폐기물의 재활용을 촉진시켜 환경보호 및 자원절약을 위해 1997년부터 산업자원부가 도입해 실시한 제도이다. <Chemical Daily News 2001/04/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리사이클] 바이오메탄, 음식물 폐기물 활용? | 2016-10-25 | ||
[신재생에너지] 산자부, 우즈벡 태양광사업 타진 | 2013-10-31 | ||
[리사이클] 광주광역시, 음식물 자원화설비 가동 | 2013-06-17 | ||
[바이오연료] 음식물쓰레기 활용 도시가스 공급 | 2013-04-0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폴리머] PBS,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를… | 2021-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