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렌(Ethylene)은 변동이 없었다.
아시아 에틸렌 시장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86달러대를 형성한 가운데 한국 가동률 감소에도 수요가 잠잠하며 대체로 보합세에 그쳤다.

에틸렌 시세는 7월5일 CFR NE Asia가 톤당 855달러, CFR SE Asia는 930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FOB Korea는 820달러로 5달러 하락했다.
유럽은 FD NWE 톤당 720유로로 15유로 하락했지만, 미국은 FOB US Gulf 파운드당 25.25센트로 변동이없었다.
국제유가가 7월5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86.54달러를 형성하고 나프타(Naphtha)는 C&F Japan 톤당 722달러로 6달러 하락한 가운데 크래커 가동률이 감소하면서 현물 거래 범위가 제한되었고 보합세에 그쳤다. 한국의 크래커 운영이 마진 악화로 인해 6월 대비 7월에 소폭 감소했고, 수요는 계속해서 잠잠했다.
한화토탈에너지스는 대산 소재 에틸렌 155만톤, 프로필렌 80만5000톤 크래커를 최근 화재로 인해 가동 중단하였다. GS칼텍스는 여수 소재 에틸렌 75만톤, 프로필렌 43만톤 크래커를 정기보수와 병목현상 해소 작업을 위해 9월 가동 중단할 예정이다.
중국 PetroChina Lanzhou Petrochemical은 산시성(Shaanxi) 위린(Yulin) 소재 에틸렌 80만톤 크래커를 8월초 정기보수할 예정이다.
타이완 포모사 석유화학(Formosa Petrochemical)은 1월말 정기보수 들어간 마일랴오(Mailiao) 소재 No.2 에틸렌 103만5000톤, 프로필렌 52만톤 크래커를 6월말 재가동했다.
말레이시아 Pengerang Refining & Petrochemical은 펭게랑(Pengerang) 소재 에틸렌 120만톤, 프로필렌 60만9000톤 크래커를 6월말 정기보수 들어갔다.
미국 Chevron Phillips Chemical은 텍사스(Texas) 스위니(Sweeny) 소재 에틸렌 68만톤 크래커를 6월24일 오작동으로 인한 비정기보수에 들어갔다. 캐나다 NOVA Chemicals는 앨버타(Alberta) 조프르(Joffre) 소재 에틸렌 135만톤 플랜트를 8월15일, 헝가리 MOL Petrochemicals는 티서우이바로시(Tiszaujvaros) 소재 No.1 에틸렌 37만톤, 프로필렌 20만톤 크래커를 8월, 슬로바키아 Slovnaft는 브라티슬라바(Bratislava) 소재 에틸렌 24만톤, 프로필렌 12만톤 크래커를 9-11월 정기보수할 예정이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