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내셔널(대표 이계인)이 광양 No.1 LNG(액화천연가스) 터미널을 종합 준공했다.
광양 No.1 터미널은 1-6호기 저장탱크를 베이스로 총 93만kL LNG 저장용량을 확보했으며 18만입방미터급 LNG 운반선을 접안할 수 있는 항만 설비를 갖추게 됐다.
포스코인터내셔널에 따르면, 광양 No.1 터미널은 2002년 착공해 2005년 탱크 1호기 가동 이후 약 20년간 총 1조450억원의 투자가 집행됐다.
앞으로 광양 No.1 터미널은 발전용과 공정용 천연가스 공급은 물론 포스코, 에쓰오일, SK E&S 등이 직도입한 천연가스를 하역·저장·기화·송출하는 종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5·6호기 저장탱크에는 포스코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극저온용 고망간강을 국내 최초로 적용했다.
극저온용 고망간강은 LNG를 액체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인 섭씨 영하 162도 이하 극한 환경에서 충격인성과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인접 부지에 총 9300억원을 들여 20만kL급 LNG 탱크 2기를 증설하는 광양 No.2 LNG 터미널도 2023년 착공해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No.2 터미널이 완공되는 2026년에는 총 133만kL의 LNG 저장용량이 확보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광양터미널을 주축으로 LNG 밸류체인 가운데 액화, 운송, 저장, 트레이딩 영역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기존 LNG 저장탱크 임대사업 외에도 LNG 선박 시운전, 벙커링 사업 등을 연계하고 블루수소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기반을 다질 방침이다.
현재 국내 LNG 터미널은 한국가스공사와 민간을 합쳐 탱크 90기(1449만kL)가 운영 중이며 21기(496만kL)가 건설 예정이다.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준공식 축사를 통해 “최초의 민간 LNG 생산기지인 광양 No.1 터미널은 LNG 밸류체인의 핵심 요소로서 글로벌 에너지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소중한 자산이 될 것”이라며 “국가경제에 필수적인 에너지 안보 확보에도 핵심 역할을 할 필수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윤우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