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대표 송호준)는 포항공장 폐수 문제로 인근 주민들과 충돌하고 있다.
포항시 남구 청림동 주민으로 구성된 블루밸리 산업단지 폐수 방류 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7월8일 기자회견을 열고 “블루밸리 산업단지 내 2차전지 생산기업의 폐수 방류는 포항의 상징 영일만을 죽이는 일로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영일만 산업단지 주변 해역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중금속이 검출되고 에코프로 방류수로 양식 어패류가 집단 폐사하는 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들은 여기에 블루밸리 산업단지 2차전지 생산기업까지 폐수를 방류하면 단기적으로 청림이나 도구해변, 장기적으로는 영일만 전체가 오염에 직면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최근 포항시가 입주기업에게 무방류시스템을 관철하고 5년 안에 공공폐수처리시설을 설치하는 계획을 공개했으나 에코프로는 2017년 포항환경연합과 무방류시스템을 약속했음에도 이행하지 않았다고도 주장했다.
이에 대해 에코프로는 설명자료를 통해 “에코프로 방류수로 양식 어패류가 집단 폐사한 사실은 없고 에코프로 방류수에서는 수은, 카드뮴 등 모든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았다”며 “2차전지 양극재 관련 방류수에서는 수은과 카드뮴이 검출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2017년 포항환경연합과 무방류시스템을 약속하는 합의서를 작성한 바 없다”며 “에코프로는 단계적으로 무방류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해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무방류시스템을 운용하고 있고 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방류수 생태독성 배출기준을 준수하면서 무방류시스템 구축을 준비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포항 남구 구룡포읍·동해면·장기면 일대 블루밸리 산업단지에는 2차전지 소재 생산기업인 에코프로와 포스코퓨처엠 등이 공장을 가동‧건설하고 있다.
2차전지 소재 공정에서는 고농도 소금 성분이 함유된 폐수인 염 처리수가 발생하며, 포항시는 블루밸리 산업단지에 염 전용 공공폐수처리시설과 무방류시스템 구축을 추진하되 2025년부터 시설 설치 전까지 폐수를 배출허용기준 이내로 처리해 지하관로를 통해 영일만 해역에 방류할 예정이다.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