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PE(High-Density Polyethylene)는 인디아만 하락했다.
아시아 HDPE 시장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66달러대로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요 부진으로 관망세가 이어지며 대체로 보합세를 나타냈으며, 인디아는 예외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HDPE 시세는 5월14일 인젝션(Injection) 그레이드 기준 CFR FE Asia가 톤당 840달러, CFR SE Asia는 875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블로우몰딩(Blow-Molding)도 FEA가 865달러, SEA는 870달러로 보합세에 그쳤다. 필름(Film) 역시 FEA가 875달러, SEA는 910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얀(Yarn)은 FEA가 885달러, SEA는 940달러로 보합세에 그쳤다.
CFR S Asia는 인젝션 900달러, 블로우몰딩 895달러, 필름은 900달러, 얀은 890달러로 각각 10달러 하락했다. 유럽은 5월16일 인젝션이 FD NWE 톤당 1020유로로 30유로, 블로우몰딩은 1050유로로 20유로, 필름은 1050유로로 20유로 하락했다.
국제유가가 5월14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66.09달러로 약 5달러 상승했지만 아시아 HDPE 시장은 수요 부진에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 시장은 우호적인 거시경제 여건과 재고 보충 수요에 힘입어 수급 균형이 다소 개선되며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저가 구매수요가 증가하며 시장 안정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달러화 기준 시장에서는 미중 관세 완화 기대감 속에 제안가가 소폭 상승했으나, 내수와 수입 가격 간 격차 축소로 수입 창구는 사실상 닫힌 상태다. 미국발 선도계약 가격도 소폭 올랐으며, 단기 심리는 개선됐지만 5월13일 이후 통관 결과에 따라 시장 영향이 구체화될 전망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여전히 약세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동남아 시장은 긍정적인 거시경제 여건과 우호적인 관세 정책 도입에 힘입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낙관적 분위기 속에서 무역상들은 재고를 전략적으로 축소하며 유리한 시장 상황에 대응하고 있다. 중동 주요 공급업체들은 기존 배정을 대부분 소진한 상태로, 6월 선적분에 대한 신규 할당은 5월 말 발표될 예정이다. 최근 시장의 안정은 낮은 제안가의 일시적 철회와 공급 제약에 기인하며, 5월 하순부터 신규 제안이 본격화되면 거래가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인디아 시장은 전반적인 수요 부진 속에 약세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다. LDPE(Low-Density PE)를 제외한 대부분의 그레이드는 제한된 공급에 따라 가격이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구매자들은 주로 국내 생산업체를 통해 최소 물량만 확보하는 보수적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공급업체들은 가격 인센티브를 통해 수요 확대를 시도하고 있으나, 향후 무역 흐름 변화에 대한 우려로 단기 수입 수요는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
5월말/6월초 중국으로 출발하는 필름(Film) 그레이드에 대해 사우디가 CFR 910달러를, 중동이 CFR 850달러 수준을 제시했다. 동남아에는 중동이 CFR 940달러를, 사우디가 CFR 880달러 수준을 요구했다. 인디아에는 중동이 CFR 920달러를, 사우디가 CFR 890-940달러 수준을 제시했다.
에틸렌(Ethylene)은 CFR NE Asia 780달러로 10달러 하락했고, HDPE(필름: CFR FE Asia)와 에틸렌(CFR NE Asia)과의 스프레드는 톤당 95달러로 10달러 늘어났지만, 여전히 손익분기점 150달러 밑으로 적자가 심화될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PetroChina Lanzhou Petrochemical Yulin Chemical은 위린(Yulin) 소재 HDPE 40만톤 플랜트를 5월10일 정기보수 들어갔다. Sinopec Yanshan Petrochemical은 베이징(Beijing) 소재 No.1 HDPE 11만톤, No.2 HDPE 11만톤 플랜트를 각각 5월11일/5월12일 정기보수 들어갔다. Yulong Petrochemical은 Longkou 소재 HDPE 30만톤 플랜트를 5월초-5월 중순 일정으로 정기보수 들어갔다.
말레이지아 Petronas Chemicals는 테렝가누(Terrenganu) 케르테(Kerteh) 소재 HDPE 12만5000톤 플랜트를 4월19일 약 한달 일정으로 정기보수에 들어갔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