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화학, 생산비중 28% 불과
환경문제가 새로운 세계 경제문제로 부각됐을 뿐만 아니라 관련산업의 성장 및 사회적 요구의 다양화·고급화 추세가 진행돼 정밀화학도 새로운 기능을 갖춘 환경친화적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정밀화학산업은 영세한 중소기업이 대부분이어서 전문인력 부족과 중간체·원제산업의 취약으로 아직 신물질을 창출하거나 국내외 환경문제에 적극 대응하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특히, WTO 출범과 우리나라의 OECD 가입으로 국내시장의 개방화·국제화가 더욱 가속화되는 반면, 선진국은 핵심기술 이전을 더욱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정밀화학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환경친화적제품 및 고기능성제품 개발, 신물질 창출 등을 통한 국제경쟁력 제고가 절실한 상태이다. 정밀화학산업은 자원이 적게 소요되고 기술집약적이며 부가가치가 높다. 또 제조공정은 다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어 고도의 기술을 요하고 기술 상호간 유사성이 없어 단순 기술모방이 어려우며, 일정기간의 기술축적 없이는 자체적 개발이 힘든 대표적인 기술집약적산업이다. 연구개발에는 막대한 투자비와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된다. 국내 정밀화학산업은 1960년대의 완제품과 원제 등을 수입하는 수입 의존단계에서 1970년대 기술도입에 의한 모방적 생산단계, 1980년대의 신프로세스 자체개발단계를 거쳐 현재 신물질 합성 및 일부품목의 개발단계에 도달해 산업 Life-Cycle상 성장국면에 진입한 상태이다. 표, 그래프 : | Chemicals 및 LifeChem 수출입 실적 | <화학저널 2001/6/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롯데정밀화학, ECH 강세로 수익↑ | 2025-09-18 | ||
[화학경영] 롯데정밀화학, 반밖에 못 벌었다! | 2025-07-30 | ||
[무기화학/CA] 롯데정밀화학, 요소수 공세 강화 | 2025-06-11 | ||
[화학경영] 롯데정밀화학, ECH 호조 덕분에… | 2025-04-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정밀화학의 방향성, 글로벌 고기능화 트렌드… 일본 뒤쫓다 중국에 먹힌다!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