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11월 북한 환경관료 남한 방문
북한 정부의 환경담당 관료가 동북아 5개국이 참여하는 두만강 환경보전사업 협의를 위해 11월 남한을 방문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남북관계와 관련된 사안 외에는 북한의 정부 관료가 남한을 방문한 적이 없어 환경관료 방문의 성사 여부가 주목된다. 환경부는 유엔개발계획(UNDP) 주도하에 남북한과 중국, 러시아, 몽골 등이 참여해 추진중인 두만강 유역 환경보전사업의 2차 추진이사회를 11월 서울에서 개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7월2일 밝혔다. 환경부는 이사회에는 사업에 참여하는 5개국의 환경 관련 과장급 관리들이 참가할 예정이며 2001년5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1차 이사회에는 북한이 불참했지만 2차 이사회 때는 참가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은 1998년 두만강 유역 환경보존사업계획서가 마련된 이후 사업추진에 그다지 적극적이지 않았으나 2001년6월에는 두만강 수질오염을 조사하기 위해 북한을 방문한 일본과 오스트레일리아의 전문가들을 오염지역으로 지목되는 무산의 철광산에 안내하는 등 협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 북한은 1차 회담 때에도 피치못할 사정 때문에 참여하지 못한다고 사전에 통보하는 등 2001년 들어 사업추진에 긍정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어 서울에서 열리는 2차 회담에는 참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이고 있다. 환경부는 서울에서 열리는 2차 이사회에 북한 관리가 참가하면 남북한간 환경협력의 중요한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고 UNDP가 적극적인 중재를 해주도록 요청할 방침이다. 두만강 유역 환경보전사업은 날로 오염돼 가는 두만강의 중장기적인 환경보전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환경보전전략 실천계획 수립 ▲국경간 진단분석 ▲오염실태조사 ▲환경정보체계 구축 ▲환경인식 증진 등 5개 분야를 5개국이 분담해 추진중이다. <Chemical Daily News 2001/07/0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중국, 전력난으로 북한에도 손길 | 2021-10-25 | ||
[산업정책] 북한, 화학공업 육성 적극화… | 2021-04-06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북한 회담에 “급등” | 2018-03-12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북한 비핵화 타고 상승… | 2018-03-07 | ||
[금속화학/실리콘] 니켈, 북한이 급등세 저지했다! | 2017-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