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분업 후 외국계 제약회사 급성장
의약분업 후 외국계열 제약회사들이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사회연구원은 '의약분업 시행 평가' 자료를 통해 외국계 제약회사들의 시장점유율이 2000년1월 8.1%에서 12월 19.3%로 2.38배 상승했다고 7월2일 발표했다. 외국계 제약사들이 많이 보유하고 있는 오리지널 약품(특허기간이 만료하지 않은 고가의 약품)의 시장점유율이 11.4%에서 14.9%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조사에 응답한 798개 동네의원 중 37%인 282곳이 의약분업 후 오리지널 약으로 약을 바꿨다고 응답했다. 특히, 피부염을 비롯 암, 천식 등의 환자에게 사용하는 호르몬제 (스테로이드)는 분업 후 평균가격이 440% 상승했다. 혈액 및 체액용약, 항암제, 알부민 아이비글로불린 등도 크게 상승했다. 보사연은 급성 편도염, 급성 인두염 등 상기도 감염환자가 의약분업 전 약국에서 전문의약품을 임의조제하던 관행이 거의 사라지면서 사용하는 항생제가 40.5% 줄었으나, 개발된 지 오래된 페니실린계열의 항생제는 줄고 강력한 효능을 지닌 세파계열의 항생제는 오히려 29.9%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65개 제약회사 중 16.9%는 분업 후 리베이트 등 음성적 거래관행이 오히려 증가했다고 답했다. 감소한 곳은 24.6%, 거의 사라졌다고 대답한 곳은 16.9%였다. 제약회사 중 분업 후 음성적-양성적 마케팅에 관계없이 마케팅 비용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곳이 49.2%였다. 주로 동네의원을 상대로 한 마케팅 활동을 강화했다고 응답했다. 전체 매출이 늘었다고 응답한 제약기업은 49.2%를 기록했다. 동네의원 중 311곳은 건강보험 진료 수입이 증가했다고 응답해 감소했다고 응답한 201곳보다 많았다. 반면, 인건비 지출이나 의료장비 운영비, 병의원 시설유지비가 늘었다고 대답한 곳은 줄었다는 곳보다 훨씬 많았다. 의약분업 예외지역 92곳의 약국 중 33.3%가 분업 후 임의조제환자가 늘었으며, 37.8%는 타지역 환자가 증가했다고 답해 '원정조제'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Chemical Daily News 2001/07/0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엘앤애프, 노후공장을 훈련센터로… | 2025-09-30 | ||
[환경] 금호석유화학, 기후변화 대응 강화 | 2025-09-18 | ||
[폴리머] 에폭시, 반도체 후공정 개척한다! | 2025-09-0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제약] 신약 개발, 연평균 10% 성장 기대 신약 후보물질 개발 “치열” | 2025-09-12 | ||
[EP/컴파운딩] PA, 완후아 진출로 긴장 고조 EV·친환경 대응 본격화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