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년들어 수출가 상승, 내수판매 호조 등 섬유업계 전반이 경기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생산설비 가동률도 지난 92년보다 상승한 80.1 %대를 유지하고 있다. 또 화섬·방적·의류 등 전분야에 걸쳐 경기회복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그동안 수출시장에서 국내기업간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채산성이 악화됨에 따라 그 대응책으로 94년3월 화섬직물수출협의회가 발족, 그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 반면 섬유업계는 중국산 섬유 수입이 급증하고 있고, 원료난이 가중되는 등 어려움이 산적해 있어 이에대한 대책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산 저가 섬유제품 수입은 원면을 제외하고 8억600만달러로 93년동기대비 20% 증가하는 등 중국의 가격공세가 UR타결후 더욱 거세지고 있다. 또 합성원료는 PTA(Purified Tere- phthalic Acid)를 제외하고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EG(Ethylene Glycol)가격이 국제적으로 30%이상 상승하고 있고, 구득난마저 겹쳐 94년 화섬업계의 최대 관심사는 원료구매 여부가 되고 있다. 표, 그래프 : | 국내 섬유산업 현황 | 세계 합성섬유 생산현황(1992) | 주요 국가별 합성섬유 생산현황 | 국내 폴리에스터장섬유 생산능력 | 국내 폴리에스터섬유 설비현황 | 국내 화섬기업의 매출추이 | 국내 섬유 수출동향(품목별) | <화학경제 1994/10/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화학섬유, 생산체제를 재정비하라! | 2025-06-12 | ||
[합성섬유] 효성티앤씨, 화학섬유 혁신 | 2023-08-21 | ||
[합성섬유] 화학섬유, 친환경화로 살길 찾는다! | 2021-01-28 | ||
[합성섬유] 화학섬유, 친환경 원료 채용하라! | 2020-12-03 | ||
[합성섬유] 화학섬유, 차별화 전략 강화한다! | 2020-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