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석면 실태조사 대상 축소 의혹
2001년4월 환경단체가 서울 지하철역에서 발암물질인 석면이 검출됐다고 주장한 후 서울시가 곧바로 진상조사에 나섰으나 아직까지 조사결과가 공개되지 않아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서울시는 조사대상 역사 수를 당초 계획보다 축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환경운동연합 등에 따르면, 서울시는 환경단체가 지하철역에서의 석면 검출 사실을 폭로한 직후인 4월26일 대학교수, 연구기관, 서울환경운동연합 관계자가 참여하는 합동조사반을 구성해 즉각적인 실태조사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당시 석면가루 검출 가능성이 높은 냉방공사 현장 10곳과 공사가 예정된 7곳, 일반역 8곳 등 지하철 1-8호선 역사 총 25곳에서 5월 중순까지 표본조사를 마치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그러나 서울시는 시민들에게 약속했던 것과 달리 조사대상 역을 당초 계획보다 6개 적은 19개로 줄여 6월말 겨우 벌크(냉방 자재) 및 공기 시료 채취를 끝냈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은 4월25일 서울 지하철역 3곳의 공기질을 조사한 결과 냉방공사가 진행중인 시청역에서 밤 시간대에 미국 환경청 기준치(0.01개/㎤)에 비해 최고 2.6배나 많은 석면이 검출됐다고 폭로한 바 있다. <Chemical Daily News 2001/07/0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효성티앤씨, 서울시 환경상 대상 | 2021-06-04 | ||
[에너지정책] LGU+, 서울시 에너지 효율화 동참 | 2016-02-02 | ||
[산업정책] 석면, 화학설비용 전면 사용금지 | 2015-04-07 | ||
[에너지정책] 서울시, 신축건물 LED 조명 50% 의무화 | 2013-08-2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파인세라믹] 탈크, 중국산 지배에 석면 규제로 “휘청” | 2014-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