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올림픽 계기 중국특수 기대
중국의 여름 올림픽 유치에 따라 한-중 교역규모가 2008년 1000억달러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산업자원부는 7월13일 `중국의 올림픽 유치가 수출에 미칠 영향'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가 베이징 올림픽 개최에 따른 특수의 가장 큰 수혜자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분석자료에 따르면, 중국 경제는 외국인 투자 확대와 올림픽 관련 투자확대를 통해 앞으로도 연평균 8%가 넘는 안정적인 성장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돼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도 2008년까지 연평균 15% 안팎의 증가세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산 수입도 연평균 15% 이상 늘면서 중국과의 교역규모는 2004년 500억달러 선을 돌파하고, 2008년에는 수출 565억달러, 수입 460억달러 등 모두 100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올림픽 특수가 기대되는 분야로는 ▲철근, 시멘트 등 건설기자재 ▲디지털TV,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VD플레이어, 방송기자재, PC 등 디지털 가전분야 ▲통신 및 정보기술 분야 ▲집진기, 폐수처리시설 등 공해방지설비 등을 꼽았다. 특히, 경기장과 숙박시설은 물론 공항, 고속도로 등 사회간접자본 건설사업에 국내 건설기업들의 진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산자부는 중국경제가 세계무역기구(WTO) 가입과 올림픽 유치에 따라 2010년에는 국민총생산(GNP)이 2조달러에 육박할 전망이어서 동북아지역 수요창출의 엔진이 될 전망이며, 세계 주요 기업이 중국 내수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기업들의 적극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합작투자나 공동개발 등 중국과의 전략적 산업협력을 확대하는 한편, 고가전략과 문화 및 스포츠 마케팅을 통한 적극적인 시장 공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산자부는 무역협회, 업종별 단체 등과 공동으로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중국에 대한 수출 및 투자확대를 위한 방안을 수립하고, 9월 베이징에 조사단을 파견키로 했다. 도표 : 올림픽의 경제적 효과,한국-중국 수출입 전망 <Chemical Daily News 2001/07/1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무기화학/CA] 가성소다, 올림픽 끝나자 급락세… | 2022-03-18 | ||
[올레핀] 2-EH, 겨울올림픽 끝나자 “폭락” | 2022-02-25 | ||
[첨가제] Dow, 평창올림픽 성공의 1등공신 | 2018-02-20 | ||
[페인트/잉크] Dow, 평창올림픽을 친환경화… | 2018-01-30 | ||
[건축소재] Dow, 평창을 친환경 올림픽으로… | 2018-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