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미생물연구소, 고기능성 미생물 유전자정보 해독
서울대학교 미생물연구소는 벤처기업 마이크로비아(대표 송인권)와 공동으로 김치에서 분리된 고기능성 미생물 '류코노스톡 김치아이'의 유전자 정보를 해독했다고 9월5일 밝혔다. '류코노스톡 김치아이'는 2000년 인하대 한홍의 교수팀이 김치에서 발견한 새로운 미생물로 현재까지 김치에서만 발견되는 토종 유산균으로 게놈은 약 210만쌍의 염기 및 2000여개의 유전자로 구성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약 99% 이상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판독해 산업적으로 유용한 대부분의 유전자 정보를 확보했으며, 김치 연구 분야에서 선진국에 앞서 유전자원을 선점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 향후 미생물 기능성 연구를 통해 맛과 향이 조절되는 맞춤 김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김치 유산균이 어떻게 사람의 장에서 다른 해로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장의 기능을 증진하는지 원인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Chemical Daily News 2001/09/0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LG에너지, 서울대와 배터리 협력 | 2023-01-25 | ||
[기술/특허] 한화솔루션, 서울대와 연구소 설립 | 2022-07-01 | ||
[배터리] 삼성SDI, 서울대와 배터리 인재 양성 | 2021-11-17 | ||
[배터리] 현대, 서울대와 배터리 기술 개발 | 2021-11-04 | ||
[기술/특허] LG화학-서울대, 그린바이오 기술개발 | 2016-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