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급불균형 합성글리세린으로 “돌파" 용제를 비롯한 식료품·의약품·향료·인쇄잉크·투명비누·섬유윤활제·합성수지원료·도료 등 다양한 수요창출로 각광받아온 글리세린이 부산물로서의 일정한 수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기능 합성글리세린시장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 수요시장의 자연증가분을 해결할 수 없는 공급능력이 극도의 수급불균형을 초래할 가능성마저 있는 것으로 지적돼 공급면에서 다소 안정된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합성글리세린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글리세린의 시장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채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뒤따라 단시일내에 최근의 수급불균형이 해소되기는 어려운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표, 그래프 : | 합성글리세린 반응식(에피클로로히드린법) | 국내 글리세린 용도별 수요현황 | 국내 글리세린 공급현황 | 혼촉위험물질표 | <화학저널 1994/12/2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퍼스널케어] 글리세린, 공급 불안으로 강세 | 2025-05-07 | ||
[안전/사고] 정읍 글리세린 공장에서 염산 누출 | 2024-12-19 | ||
[정밀화학] ECH, 글리세린 폭락에도 “침체” | 2023-07-11 | ||
[아로마틱] 글리세린, 국제가격 하락세 장기화 | 2023-02-13 | ||
[퍼스널케어] 애경케미칼, 친환경 글리세린 공세 | 2022-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