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세계 섬유시장은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가 수요감소로 침체상황을 면치 못했다. 특히, 아시아 시장 축소가 두드러졌으며, 2001년 상반기에는 대부분의 기업들이 생산조정에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경기 후퇴로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한 세계 섬유경기는 아시아산 제품 수출 감소에 따른 경쟁격화, 수급 불균형, 생산량 감소 등의 악순환이 예상되고 있다. 이미 한국 및 타이완의 합성섬유 생산기업들은 구조적인 요인 등으로 생산조정에 돌입했으며, 서유럽은 유로화 가치 상승으로 수출이 순조롭게 회복되고 있는 반면, 수요는 제자리걸음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은 국내수요 신장 및 높은 경쟁력 등으로 당분간 세계 섬유 생산기지로서의 위치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2000년 세계 합성섬유 생산량은 전년대비 5.8% 증가한 2577만톤에 달했다. 1999년 증가율은 2.2%에 불과했다. 2000년 천연섬유를 포함한 전체 섬유 생산량은 3.9% 증가한 4870만톤을 기록했다. 면화는 중국 및 미국 생산량이 각각 14%, 3% 증가한 반면, 인디아 및 중앙아시아 생산량이 줄어 전체적으로는 1.9% 증가에 머물렀다. 양모 생산량은 생산기업들의 감산이 이어져 전년대비 0.2% 감소했다. 천연섬유 시장악화에 따라 합성섬유의 시장점유율은 1999년 52%에서 2000년에는 53%로 소폭 상승했다. 표, 그래프 : | 세계 합성섬유 증설현황 | 세계 합성섬유 생산동향 | 합성섬유 3개 제품의 주요 수출입국 | 중국의 합섬원료 주수입선(2000) | 중국의 화학섬유 평균성장률 | 중국의 합섬원료 수입실적 | 중국의 화학섬유 생산전망(2000) | 합성섬유 생산실적 | 중국의 화학섬유 수급동향 | 인디아 섬유산업 동향 | 인디아의 합섬원료 생산·수입실적 | 인디아의 합성섬유 수급동향 | 일본의 합성섬유 생산능력 | 일본의 합성섬유 수출입실적 | 일본 합성섬유기업의 섬유부문 연결매출(2000) | 일본의 합성섬유 생산동향 | <화학저널 2001/12/10·17>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무역] 화학무역, 인디아 시장 개척 총력전 | 2025-10-17 | ||
[농화학] 농약, 한국 시장 2조원대 성장 | 2025-10-14 | ||
[에너지정책] GS칼텍스, 데이터센터 냉각시장 선도한다! | 2025-10-14 | ||
[점/접착제] 접착제, 인디아 자동차 시장 조준 | 2025-10-13 | ||
[플래스틱] SK케미칼, 유럽 재활용 시장 공략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