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 면적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태평양 심해저가 한국의 독점적 개발광구로 확정된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1994년 유엔으로부터 광구개발권을 인정받은 태평양 심해저 C-C(Clarion-Clipperton) 해역 15만㎢ 중 경제성이 높은 7만5000㎢를 2002년 8월까지 한국의 단독개발광구로 확정할 계획이다. 유엔해양법은 개발도상국들의 광구 개발 참여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최초 등록광구의 절반을 연차적으로 반납하는 광구포기제도를 규정하고 있으며, 한국은 경제성이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1997년 3만㎢, 1999년 1만5000㎢를 포기한데 이어 8월 마지막으로 3만㎢를 반납할 예정이다. 대상광구는 하와이에서 동남방으로 2000㎞ 떨어진 수심 4800-5200m의 심해저로 망간, 니켈, 구리, 코발트 등 금속자원이 함유된 망간단괴 4억2000만톤이 분포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간 300만톤을 생산하면 100년 이상 채광할 수 있는 양으로 경제적 가치는 1500억달러에 달한다. 망간단괴는 해저면에 부존된 직경 1-15cm의 구상광물로 망간(23%), 니켈(1.2%), 구리(1.1%), 코발트(0.2%)를 함유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2015년으로 예정된 상업생산에 앞서 우선 채광지역(2만㎢) 선정과 채산성 평가를 위한 정밀탐사작업을 2003년부터 2010년까지 실시하고 선진국에 비해 낙후된 채광, 제련 등 기초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사업기간은 1994-2010년으로 1184억7700만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는 태평양에 단독광구를 확보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1980년대 초 시작된 뒤 20여년 만에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게 됐고 망간, 구리, 니켈, 코발트 같은 전략금속자원을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 해양부는 매년 300만톤씩 채광하면 2조원 이상의 수입대체 및 수출효과가 기대돼 상업생산에 앞서 민간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참여기업에게 세제혜택 등을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국내에서는 육상 광물자원 생산여건의 한계 및 지속적인 수요증가로 금속자원의 자급도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데, 2000년에는 총수요의 99.9%를 수입에 의존했다. 한편, 미국 및 영국, 프랑스, 일본 등 선진국들은 이미 1980년대 중반부터 C-C 해역의 우선 개발구역 선정을 끝내고 상업생산시기를 엿보고 있으며, 중국과 인디아 등 후발 참여국들도 매년 막대한 사업비를 투입해 광구탐사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hemical Daily News 2002/01/3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한국석유, DMAc 시험생산 준비 | 2025-05-14 | ||
[반도체소재] 반도체, 한국-일본 신소재 협력 | 2025-05-14 | ||
[EP/컴파운딩] 한국POM, 호모폴리머 진출한다! | 2025-04-30 | ||
[산업정책] 한국-미국, 경제안보 협의 “진전” | 2025-04-2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에폭시수지, 한국만 고전하고 있다! | 2025-05-0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