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A 가격 급등할 것인가?
Polyester의 원료인 TPA(Terephthalic Acid)의 중국 및 국내수요가 동시에 폭증하면서 TPA 생산기업들이 공급물량 배분을 놓고 행복한 고민에 빠져 있다. 석유화학업계에 따르면, TPA 가격은 4월 들어 톤당 500달러를 넘어서는 등 4월에 이어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TPA 가격은 2001년 12월 톤당 365달러를 바닥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타기 시작해 2002년 1월 374달러, 2월 383달러를 기록한데 이어 3월에는 470달러, 4월 들어서는 520달러로 급등했다. TPA 가격이 오르고 있는 것은 중국 Polyester 메이커들의 가동률이 높아지면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3월 들어 국내 대형 화섬기업들이 가동률을 90% 이상으로 끌어올리면서 국내수요 초과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실제 PTA 메이커들은 2001년 말 국내 화섬기업의 평균 가동률을 85% 이하로 추정해 공급계획을 세웠으나 3월 이후 가동률이 높아지면서 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등 해외시장 공급물량을 줄여 국내 공급물량을 늘리는 메이커들도 생겨나고 있다. 삼성석유화학은 국내기업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중국기업들과의 공급계약 물량을 줄였고, 국내기업들에게는 가수요를 자제해 달라고 요청한 상태이다. 그러나 수출가격이 워낙 높아 TPA 메이커들이 수출에 주력하면 국내 화섬기업들은 공급부족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다. TPA는 국내에서 삼성석유화학 삼남석유화학 KP케미칼, SK케미칼, 태광산업, 효성 등이 연간 440만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2001년에는 140만톤을 중국 등에 수출됐다. <Chemical Daily News 2002/04/16>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PS, 인디아 가격만 떨어졌다! | 2025-10-14 | ||
[석유화학] PP, 아시아 가격 일제 하락했다! | 2025-09-15 | ||
[석유화학] EDC, 저가 경쟁에 가격 떨어졌다! | 2025-08-21 | ||
[폴리머] ABS, 원료 강세에도 가격은 “추락” | 2025-07-29 | ||
[석유화학] HDPE, 수요 부진에도 ‘가격 방어’ | 202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