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연구인력 800여명으로 확대
나노 붐을 타고 나노기술(NT) 분야에 과학자들이 몰리고 있다. 나노종합계획수립 기획위원단에 따르면, 국내 나노기술 연구인력은 800여명으로 2000년 200여명에 비해 4배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나노관련 기술개발 등 각종 프로젝트 연구가 크게 활기를 띠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전문지식이 부족한 연구인력들의 나노분야 집중현상으로 인한 부작용을 지적하고 있다. 서울대가 개설한 나노기술협동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교수는 2001년 30명 선에서 45명으로 늘어났다. 나노과학기술협동과정은 자연대 공대 약대 의대 등에서 나노관련 연구를 하던 교수들이 모여 만든 대학원 과정으로 서울대 관련교수들이 대부분 참여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도 2000년 40명 선이었던 나노기술연구인력이 2001년 70명으로 늘어난데 이어 2002년에는 100명 선에 이르고 있다. 과학기술부는 2005년까지 4200명의 나노기술 연구인력이, 2010년에는 1만2600명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나노기술인력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나노 관련 프로젝트의 증가 때문으로 지적되고 있다. 과기부가 지원하는 나노기술 관련 국책과제로는 1995년 처음으로 극미세구조기술개발사업이 선정된 후 매년 과제가 늘고 있다. 연간 100억원을 10년간 지원하는 장기 사업인 프론티어사업은 나노관련 과제가 2000년 1개에서 2002년에는 2개로 늘어났다. 프론티어 사업은 세계에서 경쟁할 수 있는 분야에 대규모 지원을 하는 사업이다. KIST는 나노기술 관련 과제수가 2000년 10여개에서 2001년 20여개로, 2002년에는 다시 40여개로 늘었다. 나노기술에 대한 정부지원 증가도 또 다른 요인 중 하나이다. 과기부의 나노관련 연구개발비는 2000년 203억원에서 2001년 365억원으로, 2002년에는 1033억원으로 늘어났다. 우리나라 전체로는 2002년 2031억원이 투입된다. 대학의 나노기술 관련학과 신설도 빼놓을 수 없는 요인으로, 현재 서울대 세종대 인제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양대에 나노 관련학과가 설치돼 있다. 과학계에서는 나노관련 인력이 늘어나면서 국내기술이 한 단계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갑자기 나노기술에 연구인력이 몰리면서 자칫 부실한 연구가 양산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정부로부터 연구비를 받아내기 위해 나노기술 개발에 뛰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Chemical Daily News 2002/04/18> |
한줄의견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