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수요증가율 "다시 상승세"
				
				
			| 2002년 7월 1차 에너지 소비가 1620만5000TOE를 기록하면서 7.5%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산업자원부가 발표한『7월 에너지 수급동향』에 따르면, 제조업 가동률 상승에 따른 산업용 수요증가와 계절적 요인에 의한 냉방용 수요 증가 등으로 상반기 3.8% 증가에 그쳤던 1차 에너지 소비가 7월에는 7.5%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6월에는 월드컵에 따른 산업활동 둔화로 에너지 소비증가율이 둔화됐었다. 에너지원별 소비는 LNG 29.7%, 원자력 11.8%, 무연탄 11.4%, 석유 6.4% 증가했다. 석유는 전년동월대비 6.4% 증가한 5629만1000배럴을 기록했다. 2001년 7월의 3.3% 감소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 기록했다. 경유는 수송용 소비증가(21.7%)를 중심으로 16.7% 증가한 958만2000배럴, 휘발유는 2.4% 증가한 559만6000배럴로 나타났으며, B-C유는 산업용 수요가 크게 증가한 11.3%를 기록한 반면 발전용 수요가 52.3% 감소해 전체적으로 13.0% 감소한 817만2000배럴로 집계됐다. LPG는 석유화학, 철강 등 산업용 수요가 크게 증가한 프로판은 31.6% 증가했고, 수송용 유류가격 개편의 영향으로 부탄은 1.3%의 낮은 증가율 기록해 전체 LPG 소비는 12.2% 증가한 666만9000배럴로 집계됐다. 최종에너지 소비는 1189만3000TOE로 전년동월대비 9.2% 증가했다. 산업부문은 철강, 석유화학을 중심으로 한 석유 소비증가에 힘입어 8.6%, 수송부문은 수송물동량 증가에 따라 11.2%, 가정 상업부문은 냉방용 수요에 따라 전력 및 도시가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11.4% 증가했다. 산업부문은 전년동월대비 8.6% 증가한 740만7000TOE를 기록했는데 철강, 석유화학 등 산업활동 활성화에 따른 에너지 소비증가에 따라 석유 11.1%, 무연탄 40.4%, 도시가스 15.1%, 전력 7.7% 각각 증가했다. 한편, 에너지 수입액은 2001년 7월 이후 지속되던 감소세가 증가세로 반전하면서 25억달러로 0.6% 증가했다. 표, 그래프: | 에너지 소비증가율 | 에너지 수입액 동향 | 주요 석유제품 소비현황 | 1차 에너지 수요현황 | 최종에너지 소비현황 | <Chemical Daily News 2002/10/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PTA, 에너지·원료 동반 강세에 반등세 강화! | 2025-10-31 | ||
| [배터리] LG에너지솔루션, ESS 선회 전략 통했다! | 2025-10-30 | ||
| [석유화학] P-X, 에너지 시장 강세에 반등한다! | 2025-10-30 | ||
| [에너지정책] GS칼텍스, APEC에서 에너지산업 돌아본다! | 2025-10-28 | ||
| [배터리] LG에너지, EV 배터리 진단 서비스 시작 | 2025-10-2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