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산업 에너지 소비비중 감소!
산자부, 산업부문 소비증가율 2.9% 안정적 … 가스-전력 비중 상승 국내 에너지원 소비가 석유와 석탄 중심에서 가스, 전력, 지역난방 등 네트워크에 의해 공급되는 에너지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화학 및 비금속광물, 제1차금속 산업 등 에너지 다소비업종의 에너지 소비비중이 다소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자원부와 에너지경제원(원장 이상곤)이 발표한 <제8차 에너지 총조사>에 따르면, 에너지원 소비비중은 석유가 1998년 65.8%에서 2001년 62.2%로, 석탄이 12.4%에서 11.6%로 낮아진 반면, 전력과 가스는 12.9%, 7%에서 14.9%, 8.8%로 각각 확대됐다. 1998-2001년 연평균 소비증가율도 가격상승, 환경규제로 석탄, 석유가 2.1%, 2.5%에 그친 반면, 가스 12.5%, 전력 9.4%, 열 20.8%로 상승폭이 컸다. 2001년 에너지 소비량은 1억4319만4000TEU로 1998년1억2556만9000TEU보다 1800만TEU 가량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1992-95년 8.9%, 1995-98년 2.9%, 1998-2001년 4.5%로 나타나 에너지소비가 1990년대 초반 고성장을 기반으로 한 가파른 상승세에서 외환위기 여파로 둔화됐다가 점차 안정화 추세에 접어들었음을 나타냈다. 특히, 화학, 비금속광물 등 에너지 다소비업종의 소비비중이 1998년 63.6%에서 2001년 61.6%로 낮아지고 컴퓨터,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에너지 저소비형 산업의 비중은 20.9%에서 31.1%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 부가가치 100만원 생산 당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는 에너지원단위는 제조업이 0.45로 1998년 0.60보다 개선됐다. 수송부문은 경제회복에 따른 물동량 증가와 소득수준 향상으로 자가용 이용이 늘어나면서 7.2%의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는 전력, 가스 등 네트워크에 의한 에너지 공급비중은 크게 늘고 석유난방은 줄었으며, 상업공공부문은 사회전반의 정보화 확대로 관련시설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전력 소비의존도가 55.8%로 높아졌다. <조인경 기자> 표, 그래프: | 에너지 소비구조 추이 | <Chemical Journal 2003/09/0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배터리] LG에너지, ESS 호조 덕분에… | 2025-10-13 | ||
[정밀화학] 바스프, 지속가능한 화학산업 선도 | 2025-10-02 | ||
[금속화학/실리콘] 화학산업, 안티몬 공급불안 “긴장” | 2025-10-02 | ||
[에너지정책] LG에너지, 조지아 투자 정상화 기대 | 2025-10-0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② , 전열화·CCS·탄소중립으로 지속가능 화학산업 구축한다!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