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ㆍ안료 부가가치 극대화 시급!
BTXㆍ콜타르 충분하나 고가의 중간체 수입 … R&D투자도 미비 국내에서는 염ㆍ안료를 생산하기 위한 중간체 기초원료를 충분히 보유하고 있음에도 고가의 중간체를 수입하고 있어 고부가가치의 효과를 크게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염ㆍ안료는 석유ㆍ석탄공업에서 나오는 방향족 탄화수소(BTX) 및 콜타르(Naphthalene계ㆍAnthraquinone계)를 기초원료로 사용해 주요 화학반응을 총동원하는 고도의 합성기술을 적용하는 공업으로 국내에서는 BTX, Naphthalene 등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지만 고가에 수입하고 있다. 염ㆍ안료공업은 저가인 BTX 및 콜타르로 중간체를 합성해 고가인 염ㆍ안료를 생산하는 산업으로 다른 산업에 비해 부가가치가 매우 크며, 기타 정밀화학공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다. 또 다른 화학공업에 비해 생산원가에서 차지하는 에너지의 비중이 적다. 아울러 고수준의 장치산업이며, 생산시설이 소규모인 Batch System으로 생산이 가능해 다른 장치산업에 비해 시설투자비가 매우 적다. 반면, 염ㆍ안료공업은 공해산업으로 분류될 뿐만 아니라 신소재의 출현, 기호 변화, 경제적 요구 등으로 신제품이 다량 출시되고 있어 수명이 짧아 신규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R&D투자가 필요하지만 생산과정에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고, 전문화돼 있어 신규개발이 매우 어렵다. 염ㆍ안료공업은 소량다품종 생산체계로 유기합성염료는 7000여가지, 안료는 700여종(유기안료 500여종ㆍ무기안료 200여종)이 있다. <Chemical Journal 2003/11/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제지, 고부가가치 음료용기로 부상 | 2025-05-08 | ||
[정밀화학] 파인케미칼, SDGs로 부가가치화 | 2024-07-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TPE, 일본, 고부가가치화 공세 강화 크레이튼, 순환경제로 대응한다! | 2025-10-02 | ||
[아로마틱] 유동파라핀 ②, 코스트 상승 압박 재점화 고부가가치화로 대응한다! | 2024-11-01 | ||
[아로마틱] 유동파라핀, PS용 지고 LiBS용 부상 고부가가치화가 절실하다! | 2023-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