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청, 11월15일부터 수출입 승인제 전환 … L/C Opener 건별 신고 식품의약품안정청이 11월15일자로 마약용 화학원료 23개의 수출입 승인제를 도입키로 하고 세부운영 내용을 관련업계에 하달했다.식약청은 마약류 원료물질 수출입에 대해 식약청장의 수ㆍ출입 승인을 받아야 하는 경우와 제조ㆍ수출입ㆍ수수ㆍ매매에 대한 기록을 작성하고 이를 2년간 보존해야 할 경우로 구분하고 시행이후 원료물질 관리사항을 위반하면 법 제63조(벌칙)에 의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할 방침이다. 원료물질 1군과 2군에 포함된 주요 화학제품으로는 아세톤, 염산(염류 제외), 메틸에틸케톤, 황산(염류 제외), 톨루엔 등이 포함돼 있다. 마약류 원료물질 수출입승인 제도에 대해 MEK(Methyl Ethyl Ketone) 관계자는 “현재 시행령이 실제 수요기업에 하달된 상태로 일부조항에 대해 정확한 법리해석이 어렵고 수출입승인제가 시행되면 건별 신청에 따른 원료물질 포함제품의 수요감소도 가능해 타격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Ketone류는 현재 한국의 무역규제가 완화되는 시점에서 수입자인 L/C Opner가 건별로 식약청에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점과 승인기간도 무려 10일에 달해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원료물질들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했다. 또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대통령령 제18078호) 제20조 1항의 약사법ㆍ식품위생법 및 다른 법률에 따라 수출입에 관한 허가 또는 승인을 받거나 등록 또는 신고 등을 하여야 하는 물질을 제외한다는 조항에 원료물질 1군은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나 2군의 포함여부가 명확하지 않아 마약류 원료물질 승인제를 앞두고 원료물질 2군의 수ㆍ출입에 관련된 기업들이 당혹해하는 모습이다. <김동민 조사연구원> 표, 그래프: | 마약류 원료물질 | <Chemical Journal 2003/11/2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에너지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①, 그린 화학제품 생산 본격화 세계 최초 바이오제조 “성공” | 2025-05-02 | ||
[식품소재] 화학제품, 할랄 시장 “급부상” | 2025-04-04 | ||
[화학경영] 일본계 화학기업 ②, 첨단소재는 일본에서 공급…화학제품 유통 네트워크 강화 | 2025-03-21 | ||
[화학물류] 화학물류 ②, 화학제품 니치마켓 공략 고부가·특수용도 본격화 | 2025-02-03 | ||
[화학경영] 화학제품, 현지생산으로 중국 공략 | 2024-12-20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