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Pont, 한국에서 중국으로 이동
|
코스트 높은 미국지역 생산감축 확대 … 타이완 생산도 철수 움직임 DuPont은 2003년부터 새로운 저코스트 소싱 대상국인 중국, 한국 및 동유럽을 포함한 여러 지역의 생산능력을 확대함으로써 2004년에는 코스트를 대폭 절감하고 마진을 회복할 수 있을 전망이다.특히, 중국 Shanghai 배치인력을 확대해 제품의 질을 검증하고 공급기업의 성장 잠재력 등을 파악하고 있다. DuPont은 중국에서 약 10억달러에 달하는 물량을 공급받고 있으며 곧 30억달러로 확대할 계획이다. DuPont은 코스트 경쟁력이 세계 화학시장의 최대 관건이라고 보고 있다. 과거에는 몇몇 아시아 화학기업들의 저가공략이 문제가 됐으나 이제는 일반적인 현상이며 뛰어난 기술력 및 서비스를 바탕으로 한 차별화된 제품이 아니고서는 저코스트 우위의 세계질서를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DuPont은 현재 포화상태에 있는 미국 및 유럽을 대신해 신흥시장으로 자원 재분배에 나설 계획이다. 첫 번째 대상은 중국으로 DuPont은 이미 중국에 탄탄한 자원베이스를 마련한 상태이며, 다음으로는 중ㆍ동유럽 및 브라질을 꼽고 있다. DuPont의 2003년 중국 매출규모는 Invista를 포함해 총 8억8000만달러 이상으로 전년대비 약 30% 증가했다. DuPont의 2003년 1/4-3/4분기 아시아 매출은 16%, 남미 매출은 14% 증가했으며 대부분 생산확대에 따른 결과로 파악되고 있다. 반면, 미국 매출은 7% 증가하는데 그쳤다. DuPont은 이미 중국 시장에서 탄탄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으나 앞으로도 투자를 지속할 방침이다. 중국시장은 급성장하고 있어 미국 및 서유럽의 선진 기술 및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중국의 전자, 엔지니어링 Polymer 및 코팅 사업을 확장함으로써 자동차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DuPont은 주로 한국 및 타이완 전자사업에 주력해 왔으나 최근에는 중국으로의 이전 움직임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DuPont은 2003년 11월 중국 Shanghai 부근 지역에 1500만달러를 투자한 R&D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총 200명 연구진이 포진되며 앞으로 아시아ㆍ태평양 사업부의 R&D 지원을 책임지게 된다. DuPont은 지금까지 중국에 약 7억달러 이상을 투자했으며 약 3000명의 현지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9월에는 중국 Jiangsu 정부와 토지매입 계약을 채결함으로써 앞으로 1억달러 투자규모의 Fluoropolymer 및 Fluorochmeicla 생산설비를 건설하게 된다. 또한 2003년 초 Beijing Red Lion Coatings과 2개의 자동차 코팅 합작기업을 설립했다. 브라질에는 Bunge와 식료품 합작사인 Solae를 설립해 최근 Rio Grande do Sul의 Esteio 소재 대두 단백질 플랜트 생산능력의 100% 확대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DuPont은 신흥시장의 기존 고객 뿐만 아니라 새로운 고객을 확보하는데도 주력할 방침이다. Greenwich는 최근 DuPont의 생산증대 및 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의 자료를 바탕으로 DuPont의 EPS 예상치를 상향조정했는데, 코스트 절감액이 2005년 EPS에 65센트 반영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전체 코스트 절감액도 15억달러에 가까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Chemical Journal 2004/02/09>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반도체소재] 후지필름, 한국에서 후공정 소재 사업 주력 | 2025-10-23 | ||
| [반도체소재] SCC, 한국에서 포토레지스트 생산 | 2025-02-26 | ||
| [점/접착제] 점착제, 한국에서 중국으로 옮긴다! | 2024-12-05 | ||
| [에너지정책] 과산화수소, 한국에서 타이완으로 | 2023-10-19 | ||
| [반도체소재] 반도체, 한국에서 타이완으로… | 2021-11-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