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내수가격 하락 전환조짐!
한국은행, 11월 생산자물가 0.8% 불과 … 전체 물가도 상승세 둔화 최근 고공행진을 거듭하던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뚜렷한 둔화추세를 보이고 있다.한국은행이 12월7일 발표한 <11월 생산자물가>에 따르면, 11월 생산자물가지수(2000년=100)는 10월과 같은 109.2로 전년동월대비 6.8% 상승에 머물렀다.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8월 0.9%를 나타낸 이후 9월 0.4%, 10월 0.1%에 이어 11월 0.0%로 뚜렷한 둔화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년동월대비 상승률도 7월 7.0%, 8월 7.5%, 9월 7.5%, 10월 7.3% 등으로 4개월째 7%대의 급등세가 이어졌으나 11월에는 6.8%로 한풀 꺾였다. 생산자물가의 급등세가 둔화된 것은 국제유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농림수산품이 채소류와 과실류의 출하증가로 내림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정보기술(IT) 관련 공산품 가격이 하락 또는 보합세를 나타낸 것이 주요인으로 풀이된다. 농림수산품은 전반적인 작황호조로 전월대비 2.6%, 전년동월대비로는 3.8% 하락했다. 공산품은 석유화학제품 가격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영상음향기기ㆍ통신장비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월대비로는 보합세를 보였으며 전년동월대비로는 10.2% 올랐다. 석유제품은 등유, 휘발유 등이 국제유가 하락으로 내림세를 보였으나 제트유, 나프타 등이 올라 전체로는 전월대비 0.9% 상승했다. 화학제품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원자재(나프타) 가격상승으로 에틸렌, 프로필렌, 공업용 접착제 등이 올라 전월대비 0.8% 상승했고, 고무 및 플래스틱제품은 원자재가격 상승으로 스펀지, 스티로폼, 자동차부품 등이 오르면서 전월대비 1.4% 올랐다. 이에 따라 12월 중순 이후 석유화학제품의 내수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
표, 그래프: | 생산자물가 변화 | <화학저널 2004/12/08>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금융권도 재편 압박 | 2025-09-30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경영권 분쟁 재점화 | 2025-09-30 | ||
[화학경영] 태광산업, 석유화학 재편 속도낸다!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원료 불확실성 확대된다! | 2025-10-02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재편 ② - 일본, 통폐합에 차별화 강화 스페셜티도 안심 못한다!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