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10대 뉴스] 국제유가 폭등, “WTI 55달러 돌파”
10월 중순 사상 최고가 갱신 … Dubai유 40달러, Brent유 50달러 육박 2003년 미국-이라크 전쟁 완료 후 안정세를 찾아가던 국제유가가 2003년 하반기에도 소폭의 등락을 거듭하더니 2004년 10월에는 미국 서부텍사스중질유(WTI) 현물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배럴당 55달러를 돌파했다.국내 주요 수입원유인 중동산 Dubai유도 배럴당 40달러에 거래됐으며 북해산 Brent유는 배럴당 50달러 이상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국제유가 폭등에 대해 “수요, 공급, 심리적 요인, 투기세력, 테러위협 등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요인이 한꺼번에 겹쳐 일어나면서 빚어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2004년 초 난방 수요 증가로 상승세를 타기 시작해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및 이행결정에 이어 이라크의 정정불안과 중국을 비롯한 선진국 중심의 세계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로 세계적인 휘발유 수급불안 우려감까지 겹쳤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에는 유가강세의 가장 큰 요인에 대해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는 이라크 저항세력과 미군간의 충돌에 따른 불안심리와 OPEC 회원국들의 실 생산량 증대 여부, 사우디 석유시설에 대한 추가 테러발생 가능성 등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심주영 기자> 표, 그래프: | 국제유가 추이(2004) | <화학저널 2004/12/1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화학산업 10대 뉴스(2024), 글로벌 위기 속 국내 리스크까지 석유화학, 수익 침체로 우울하다! | 2024-12-20 | ||
[산업정책] 화학산업 10대 뉴스(2023), 중국발 경기침체 "심각" 인디아·친환경이 뜬다! | 2023-12-15 | ||
[산업정책] 2022년 10대뉴스, 경기침체에 수요 감소 "위기" 바이오·리사이클로 대응한다! | 2022-12-16 | ||
[산업정책] 화학산업 10대 뉴스(2021), 석유·석유화학 시장 요동 속 리사이클·바이오 투자 확대했다! | 2021-12-17 | ||
[산업정책] 화학산업 10대 뉴스(2020), 코로나19 엄습에 사건사고 다발… 화학산업 환경 쉴새없이 요동쳤다! | 2020-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