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TiO2 수요가 89년 308만톤으로 최고수준에 달한 이후 90년 경기침체에 따라 290만톤으로 5.7% 감소했다. 세계 TiO2 수요는 90년이후 연평균 3.6%의 신장률을 기록해 94년 335만톤에 달했다. 90년~94년까지의 수요신장률은 지역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서유럽이 5.1%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여 아시아·태평양지역 4.7%를 앞서고 있고, 북미지역이 4.0%, 기타지역이 2.3%로 나타났다.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신장률은 타지역에 비해 높은 성장속도를 보이고 있고, 동유럽은 정치적 상황변동 등으로 저조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95년 세계 TiO2 수요증가율은 3.5%에 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2000년까지 경기성장을 감안할 때 연평균 3.6%의 신장이 예상되고 있다. 94년~2000년까지의 TiO2 수요증가율은 북미 2.1%, 서유럽 2.2%, 아·태지역 5.9%, 기타 6.2%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TiO2공장의 평균가동률도 87년 100.5%에서 93년 84.0%로 떨어졌다. 최근 6년간 TiO2 생산능력이 90만4000톤 늘어, 32.1% 증가하는 등 빠른 속도로 생산능력이 확대되었기 때문이다. 최근 6년간 세계 TiO2 수요증가량은 29만6000톤으로 10.5% 증가에 그쳐 생산능력증가율이 수요증가율을 훨씬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90년~93년까지 세계 TiO2공장 가동률은 87%이하를 유지했으며, 이러한 과잉양상은 가격하락으로 이어져 90년부터 가격이 하향세를 보이기 시작해 94년중반까지 이어졌다. 94년과 95년에도 꾸준히 증설이 이어졌으나 수요가 빠른 회복양상을 보여 가동률은 94년 88.9%, 95년 89.0%로 향상되었다. 따라서 94년중반 이후 TiO2 가격이 인상되기 시작해 95년까지 상승세가 지속되었다. 96년 TiO2 공장가동률은 87.0%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가격도 계속 안정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표, 그래프 : | TiO2 수요증가 추이 | 세계 TiO2 공장가동률 현황(실생산능력 VS 수요) | 세계 TiO2 생산능력 및 수요현황 | 세계 TiO2 공장가동 현황(1995) | 루타일형 TiO2 가격추이 | TiO2 신증설 현황(1991~1996) | 세계 TiO2 수요현황(지역별) | 세계 TiO2 수요현황(용도별) | TiO2 증설계획(1996~2000) | 세계 TiO2 생산능력·수요 밸런스 | 세계 티타늄광석 생산능력·수요 밸런스 | 염소공법용 티타늄광석 생산능력·수요 밸런스 | 황산공법용 티타늄광석 생산능력·수요 밸런스 | <화학저널 1996/6/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 온실가스 배출 2000년 이후 급증 | 2007-05-22 | ||
[아로마틱] SM, 2000년대 최고가격 “갱신” | 2004-02-06 | ||
[환경] 유해 화학물질 2000년 3만톤 배출 | 2002-07-1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 유해 화학물질 2000년 3만톤 배출 | 2002-08-05 | ||
[화학물류] 2000년 물류비 66조7000억원 | 2002-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