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을 섬유산업 메카로 키우자!
상의, 언어ㆍ노동력ㆍ임금ㆍ인접성 강점 우수 … 정부 지원이 문제? 개성공단이 투자 측면에서도 어느 지역보다 우수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제기됐다.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성)는 7월26일 <개성공단의 투자 매력도와 우리 기업의 진출전략 연구> 보고서를 발표, 개성공단이 동일 언어의 이점, 질 좋은 노동력, 저렴한 임금, 지리적 인접성, 정부의 지원 등 강점 때문에 정치ㆍ군사적 위험에도 불구하고 국내기업들의 투자처로 각광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질적인 면에서 북한 근로자는 원활한 언어소통, 높은 교육수준과 기술수준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월 57.5달러(사회보험료 포함)의 임금수준이 비교대상인 베트남 호찌민(월 134달러)의 43%, 중국 칭다오(월 100달러 전후)의 57.5% 수준에 불과해 압도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 수도권과의 일일 생활권으로 생산제품을 불과 7시간만에 반입해 판매할 수 있는 지리적 인접성과 육로를 이용한 저렴한 운임, 정부로부터 제공되는 금융지원, 투자손실 보조제도 등도 우위요인으로 꼽혔다. 다만, 상대적으로 높은 분양가격, 사회간접자본 미비,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로 인한 수출시장 제한, 그리고 정치군사적 위험 등이 열위요인으로 지적됐다. 조사결과는 국내 경공업 관련기업 30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개성공단에 대한 기업인식 실태조사>에서도 그대로 반영돼 개성공단의 긍정적 투자요인으로 국내기업들은 저렴한 노임(60.7%), 동일언어(18.0%), 지리적 이점(7.7%) 등을 꼽았다. 조사대상 국내기업들은 개성공단, 중국 칭다오, 베트남에 대한 투자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 중국 칭다오 41.0%, 개성공단 40.7%로 응답해 선호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의는 개성공단의 최고 유망분야로 섬유와 신발 및 봉제를 지목하면서 개성공단을 세계적인 섬유ㆍ봉제산업 메카로 육성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화학저널 2005/07/27>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섬유산업, 첨단소재 개발로 재도약 | 2024-08-13 | ||
[합성섬유] 섬유산업, 선택하고 집중하라! | 2016-01-28 | ||
[합성섬유] 섬유산업, 브라질과 협력관계 강화 | 2015-04-24 | ||
[인사/행사] 섬유산업연합회 노희찬 회장 3연임 | 2014-01-2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합성섬유] 섬유산업, 코로나19 위기를 IT로… | 2020-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