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 독성시비 속 시장확대
계면활성제 시장이 고농축세제의 등장 및 세탁기 에너지 절감추구, 환경규제 대응제품 요구 등으로 빠른 변화를 보이고 있다. 액체세제는 마일드 및 투명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더불어 박테리아를 멸균하는 기능까지도 요구하고 있다. 최근 유럽에서 개최된 CESIO(Comite European des Agents de Surface et leurs Intermediates Organiques)의 제4차 세계 계면활성제 회의에 따르면, 계면활성제의 주요 원료는 LAB(Linear Alkyl Benzene), BAB(Branched Alkylbezene), 석유계 알콜, 올레오계 알콜 등 크게 4가지로 나뉘어지며 95년기준 총수요는 400만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종류별 수요로 보면, LAB계의 LAS를 사용한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점차 보편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95년기준 LAB가 총수요 중 53%를 차지했으나, 2000년에는 58%로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표, 그래프 : | 세계 계면활성제 수요전망 | <화학저널 1996/10/1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계면활성제] 미원·LG, LAS 반덤핑관세 “폭탄” | 2017-06-12 | ||
[아로마틱] 이수화학, 애경·미원 LAS 증설로… | 2017-01-03 | ||
[EP/컴파운딩] Polyplastics, EP 생산체재 강화 | 2016-05-25 | ||
[화학경영] Asahi Glass 구미공장 노사 갈등 | 2015-06-16 | ||
[플래스틱] Altuglas, 나노 구조 아크릴판 개발 | 2012-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