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치료기술 개발 “활성화”
|
특허청, 2001-05년 특허 405건 출원 … 유전자 전달체 개발 활발 유전자 치료와 관련된 특허 출원이 급증하고 있다.특허청에 따르면, 1991-2005년 유전자치료 관련 기술의 특허 출원은 총 694건으로서 1990년대 전반 5년간은 19건이 출원돼 전체 출원의 3%에 불과했으나 2001년부터 최근 5년간은 20배 넘게 증가한 405건으로 58%를 차지하고 있다.
치료용 유전자 조각을 표적 세포내에 정확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유전자 전달체는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밝히는 것과 더불어 유전자 치료의 핵심기술이다. 특히, 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는 줄기세포 및 생체조직에 유전자를 전달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0년대 후반 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의 안전성이 문제가 돼 유전자 치료제의 임상시험이 한때 중단되기도 했으나, 바이러스성 전달체의 안전성을 보완하고 비(非)바이러스성 신소재 전달체를 개발하는 등 꾸준한 기술개발 노력이 최근 들어 가시화되고 있다. 1991-2005년 출원된 유전자 치료관련 기술 특허는 안전성 및 전달효율을 증강한 바이러스성 또는 비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가 전체의 33%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고, 치료용 유전자 조각을 포함한 재조합전달체가 186건으로 27%, 특정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가 155건으로 22%, 유전자 치료제가 116건으로 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전자 치료 분야에서 글로벌 제약기업과 같은 외국인의 출원 비율이 전체의 80%를 차지하고 있어 내국인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나, 최근 5년 동안 바이로메드, 포휴먼텍 같은 국내 바이오벤처기업, 국책연구소 등 내국인의 출원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특히, 휴먼게놈프로젝트의 완성 이후 생명공학기술의 급격한 진전으로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가 속속 밝혀지고 있으며, 유전자치료제에 대한 임상시험이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향후 유전자 치료제의 세계 시장규모는 2010년 10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표, 그래프: | 유전자 치료 관련기술 특허 출원현황 | <화학저널 2006/06/21>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제약] 코오롱I, 유전자치료제 개발 | 2022-09-02 | ||
| [제약] 코오롱, 유전자 치료제 개발… | 2022-06-20 | ||
| [제약] 한화임팩트, 유전자 치료제에 투자 | 2022-03-31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제약] CDMO, 유전자·핵산 의약품으로 진화 삼성바이오, 일본기업 경계하라! | 2023-06-02 | ||
| [제약] CDMO, 유전자 치료제 투자 활발 | 2022-08-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