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하반기 경기침체 여전
|
KIET, 수출증가 불구 단가 하락 … 섬유 흐림에 통신기기는 맑음 석유화학산업은 2006년 하반기 경기전망이 그다지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산업연구원(KIET)이 발표한 <2006년 하반기 경제ㆍ산업전망>에 따르면, 2006년 하반기 제조업 생산은 내수가 견실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대부분의 주력산업들이 상반기보다 더욱 호전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자동차, 조선, 철강 석유화학 등 비IT산업의 하반기 생산은 부품ㆍ소재분야가 낮은 증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됐다. 내수는 산업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상반기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2006년 하반기 10대 주력산업의 수출증가율은 세계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국내기업들의 제품 고부가가치화 및 수출시장 다변화 등을 통한 수출증대 노력에 힘입어 2005년 하반기에 비해 10.4%p, 2006년 상반기보다 3.1%p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10대산업의 수입은 원화 절상에 따른 수입단가 하락, 생산증가에 따른 부품소재 수입 증가 및 해외 생산분의 역수입 증가 등으로 11.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석유화학산업은 향후 기대심리 불안이 잠재할 것이나 전방산업의 수요가 가시화되며 내수는 하반기에 0.9%, 연평균 0.7%로서 2006년에는 미미하지만 증가세로 반전될 전망이다.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중국을 중심으로 한 수출증가세가 지속될 것이며, 내수도 회복세가 가시화될 것으로 예상될 뿐 아니라 수요변화에 따른 탄력적인 가동률 조정으로 재고는 급격한 증가없이 적정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고유가, 원화환율 하락 등 가격변수, 세계 석유 화학경기의 하강 예상 등 대내외 여건이 순탄치 않을 것이나 중국의 수출수요가 견조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수출시장 다변화 노력 등으로 수출수요가 하반기에도 상반기에 이어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전년동기대비 하반기 7.9%, 연간 7.6%로 증가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다만, 유가상승, 원화절상 등 가격등락 요인을 수출가격에 전가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어 수출단가 상승폭이 감소 내지는 크게 둔화되며 물량기준으로는 하반기 6.1%, 연간 5.8% 증가할 전망이다. 석유화학산업의 수출은 증가폭이 둔화하겠으나 증가세는 지속되며, 내수의 증가세 반전, 기초유분 및 합성수지의 신증설이 이어지면서 하반기 생산은 하반기 3.4%, 연간 3.2% 증가폭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석유화학산업의 수입은 2005년에 비해 수출증가폭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입금액도 하반기 5.4%, 연간 5.1%의 증가세에 그칠 전망이다. 원화가치 상승세에 따른 원료 도입비용의 부담 감소로 물량기준으로는 증가세로 반전되며 전년동기대비 하반기 4.7%, 연간 4.3% 증가폭을 기록할 전망이다. 표, 그래프: | 석유화학산업의 경기동향(2006) | <화학저널 2006/07/05>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금호석유화학, 3분기도 흑자 기조 유지했다! | 2025-11-07 | ||
| [화학경영] 삼양그룹, 석유화학사업 위기 정면 돌파 | 2025-11-07 | ||
| [산업정책] 여수, 석유화학 위기지역 교부세 추가 확보 | 2025-11-03 | ||
| [화학경영] LG화학, 석유화학 흑자전환 성공했다! | 2025-10-31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일본 석유화학 재편, 비핵심 사업 매각 본격화 NCC 통합하고 특화한다! | 2025-10-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