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도료 중국 중심 증설투자
				
				
			| 컨테이너 수송 보급 늘어나 수요 신장 … 능력 확대로 시장경쟁 극심해상운송에서 컨테이너 수송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해상용 컨테이너 도료의 수요를 대폭 끌어올리고 있다. 일본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일반화물선이 컨테이너선으로 교체되기 시작하면서 컨테이너 생산량이 연평균 2자리대 신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항만설비의 확충과 대형 컨테이너선의 잇따른 건조 러시도 컨테이너 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해상수송에서는 이미 전용화물선을 사용해 식료를 비롯해 광석 등 천연자원을 운송하는 일이 많았는데 전용화물선은 운송물자를 한정적이고 회항편이 없어 수송 효율성이 낮았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수송물자를 가리지 않는 컨테이너를 전용 컨테이너선으로 하는 컨테이너 수송이 199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했다. 1995년 세계 생산량은 약 50만개에 불과했으나 2000년에는 100만체제를 돌파했다. 이후에도 일반화물선 및 전용선에서 컨테이너선으로 전환되고, 세계 무역량의 확대,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 등에 힘입어 컨테이너 수요가 급증해 2004년에는 250만개에 달했다. 2005년에는 다소 침체됐으나 2006년 이후에는 다시 2자리대 성장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는데 컨테이너선이 연간 180개 정도 만들어지고, 현재 조선러시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에는 한척의 배에 들어가는 컨테이너의 수량은 3000개 상당이었으나 최근 대형 컨테이너선 건조가 늘어나면서 3000-5000개를 포함하는 대형선의 취항이 본격화되고 있다. 컨테이너 도료 메이커들은 중국에서 증산 투자를 가속화하고 있다. 세계의 컨테이너 도료 메이커는 中國塗料, Kansai Paint Group, 덴마크의 Hempel 3대 메이커가 시장점유율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中國塗料는 Guanzhou 공장에서 신규설비를 도입하고, Shanghai 공장에서도 생산능력을 2배 이상 확대함으로써 수요급증에 대비하고 있다. Kansai Paint는 Shanghai와 Tianjin 공장과 함께 제3의 거점으로 화남지구의 Zhuhai에 신 공장을 건설해 2007년 6월 가동에 돌입할 예정이다. 1990년대에 생산된 컨테이너는 조만간 교체기에 들어가게 되며, 신규수요 증가와 교체기가 맞물리면서 도료 메이커의 경쟁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표, 그래프: | 중국 컨테이너 생산수량 추이 | <화학저널 2006/11/02>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물류] 화학물류, 탱크컨테이너 “전성기” | 2025-07-11 | ||
| [페인트/잉크] 바스프, 벤츠에 자동차 도료 공급 | 2025-07-07 | ||
| [화학물류] 화학물류, ISO 컨테이너 전성시대 | 2025-05-30 | ||
| [석유화학] M-X, 도료‧접착제 수요 증가에… | 2025-05-29 | ||
| [배터리] LiB, 스마트 컨테이너로 안전 운송 | 2024-12-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