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램 이어 LCD까지 담합
|
공정위, 국제적 가격ㆍ물량 카르텔 조사 … D램은 벌금 3억달러 삼성전자가 <카르텔>의 늪에 빠져 세계 첨단제품 시장 평정이라는 목표 실현에 발목을 잡히고 있다.D램과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 반도체와 LCD 등 핵심분야에서 선진 외국의 경쟁기업과 치열한 경합을 벌여야 하는 삼성전자가 최근 잇따라 카르텔 혐의로 조사를 받거나 다른 나라의 법원에 제소되고 있기 때문이다. 공정거래위원회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공정위와 미국 법무부는 최근 삼성전자와 LG필립스LCD 등 LCD 생산기업들이 과거 LCD 가격인상과 공급물량 등을 담합한 혐의를 잡고 조사에 착수했다. 조사는 국내기업 뿐만 아니라 공정위가 미국이나 일본 등 각국의 공정경쟁 당국과 공조해 전세계를 대상으로 동시에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3/4분기 세계 LCD 시장에서 전체 매출의 25%를 기록할 정도로 비중이 큰 삼성전자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태이다. 세계 LCD 시장은 한국이 45%, 타이완이 40% 정도를 점유하고 있고 일본과 중국이 뒤를 잇고 있다.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LCD 시장은 3/4분기 기준으로 삼성전자와 LG필립스LCD 등 한국기업들이 전체 매출의 44.8%를 차지하고 있고 뒤를 이어 AUO, ChiMei 등 타이완이 42.7%로 추격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3/4분기에 32억4900만달러의 LCD 매출을 기록해 전체 매출의 25%를 차지하며 선두를 달렸고 LG필립스LCD는 27억7940만달러, AUO는 20억6370만달러, ChiMei는 5억6660만달러 매출을 올렸다. 삼성전자는 “카르텔 조사에 대해 아는 것이 없으며 현재 상황을 파악중”이라며 조사 여부에 대한 언급을 회피했지만 최근 D램, S램 등 반도체 분야에서 카르텔 혐의로 조사받은 데 이어 LCD 분야에서도 가격담합 논란을 겪게 돼 여러모로 우려운 상황에 처하게 됐다. 삼성전자는 10월 Sony 등 10개 S램 반도체기업들과 함께 1998년 S램 반도체 가격을 담합했다는 혐의를 받고 미국 법원에 제소됐고, 11월에는 삼성전자 독일법인도 S램 가격담합 혐의로 조사를 받았다. 앞서 삼성전자는 1999-2002년 D램 가격을 담합한 사실이 드러나 미국 정부로부터 3억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은 데 이어 2006년 초에는 간부 3명이 징역형을 받기도 했다. 법조계 관계자는 “삼성전자를 포함한 한국기업들의 글로벌 경영이 확대될수록 카르텔 논란의 발생 가능성도 높아진다”며 “국제사회에서 갈수록 엄격해지는 반독점 규제와 처벌에 대비하려면 GE 등 미국기업들처럼 자체적인 <반독점법 준수 프로그램>을 만들어 실행하는 등 대처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6/12/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화학경영] 삼성SDI, 삼성전자 지원으로 생환 | 2025-05-02 | ||
| [화학경영] 에보닉, 효율화 프로그램 “성공” | 2025-03-28 | ||
| [플래스틱] 롯데케미칼, 삼성전자와 손잡는다! | 2025-03-12 | ||
| [반도체소재] 한솔케미칼, 삼성전자 HBM 수혜 | 2024-04-22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전자소재] LED, 수은램프 대체 가능할까? | 2024-01-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