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제품 수입가격 전반적 하락세
|
한국은행, 12월 수입물가 0.2% 상승 … 화학제품은 환율하락 영향 2006년 12월 수입물가(원화기준)는 전월대비 0.2% 상승했다.미국 달러화에 대한 원화환율 하락 등의 영향으로 자본재(-0.9%)가 내렸으나 국제유가 상승 및 니켈, 알루미늄 등의 국제시세 상승으로 원자재(0.4%)가 올랐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6년 평균 수입물가(원화기준)는 전년대비 5.3% 상승했다. 달러화에 대한 원화환율 하락의 영향으로 자본재(-9.4%) 및 소비재(-3.3%)가 비교적 큰 폭으로 내렸으나 동, 니켈, 아연 등 비철금속 소재의 국제가격 및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지속함에 따라 원자재(7.5%)가 대폭 상승했기 때문이다. 12월 기초원자재는 농작물, 종이원료, 비철금속소재 등이 내렸으나 연료광물이 큰 폭의 오름세를 보이면서 전월대비 0.4% 상승했다. 종이원료는 고지가 수요증가로 오른 반면 제지용 펄프가 환율하락의 영향으로 내리면서 0.8% 하락했고, 연료광물은 액화천연가스가 하락세를 지속했으나 원유와 우라늄이 비교적 큰 폭으로 올라 1.5% 상승했다. 비철금속 소재는 니켈, 아연, 주석의 국제시세가 인도네시아의 생산차질 등의 영향으로 올랐으나 동 국제시세가 차익실현거래 등으로 하락함에 따라 관련품목들이 큰 폭의 내림세를 보이면서 1.3% 하락했다. 중간원자재는 국제유가 상승과 환율하락의 영향이 상쇄되면서 보합세를 나타냈다. 화학제품 벤젠(Benzene), 자일렌(Xylene) 등이 공급물량 부족 등의 영향으로 올랐으나 대부분은 환율하락의 영향으로 내려 0.6% 하락했다.
표, 그래프: | 원자재 수입물가 등락률 | <화학저널 2007/01/12> |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플래스틱] 플래스틱 국제협약 ②, 플래스틱에 화학제품 포함 생산규제에 리사이클 “공방” | 2025-09-26 | ||
| [화학무역] 일본, 화학제품 수출 확대 성공했다! | 2025-07-11 | ||
| [에너지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①, 그린 화학제품 생산 본격화 세계 최초 바이오제조 “성공” | 2025-05-02 | ||
| [식품소재] 화학제품, 할랄 시장 “급부상” | 2025-04-04 | ||
| [화학경영] 일본계 화학기업 ②, 첨단소재는 일본에서 공급…화학제품 유통 네트워크 강화 | 2025-03-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