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공간 레이아웃 특허출원 증가
특허청, 1995년 33건에서 2005년 97건으로 … 맞춤식 거주공간 요구 주거공간에 대한 개념이 새롭게 인식되면서 주거공간 레이아웃 특허출원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주거공간이 몸을 보호하고 자식을 낳아 기르는 가장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장소에서 신분이나 권력의 상징, 재산증식을 위한 경제적 수단이었으나, 현대인들에게는 자아실현의 장소로 재탄생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주거공간의 레이아웃에 관한 특허출원이 1995년 33건에서 2005년 97건으로 10년 사이에 약 300%의 비약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아파트를 중심으로 공간배치 방법, 공간가변 시스템, 조립식 가변벽체 등 공간구성에 관한 출원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인들의 생활이 경제적으로 윤택해지고 IT산업의 발달, 가전제품의 발달 등에 따라 공간의 활용도가 달라졌으며, 급변하는 사회변화에 따른 스트레스도 높아져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맞춤식 주거공간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본은 새로운 주거공간의 필요성에 따라 1970년대부터 공업생산, 대량생산이 가능한 독자적인 주택모델을 개발해 맞춤식 주거공간을 제공하고, 축척된 기술을 특허 출원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주거공간의 레이아웃과 관련한 국내의 특허출원이 비약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의 건축분야 및 건축 레이아웃과 관련한 특허출원 및 등록현황은 건축분야에서 한국과 일본이 각각 13.83%(132건 등록에 954건 출원)와 14.36%(2,833건 등록에 1만9716건 출원)로 별 차이가 없다. 건축 레이아웃 분야는 일본이 5212건 출원에 799건이 등록돼 등록률이 약 15.3%인 반면, 한국은 176건이 출원, 15건 등록으로 약 8.5%로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그래프: | 건축레이아웃 관련 특허 출원동향 | <화학저널 2007/10/1> |
한줄의견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