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중심 개발경쟁 뜨겁다! 미국·일본·EU 기술개발 적극화미국은 2003년 1월 수소연료전지 강국 건설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기술개발에 최초 5년간 17억달러 투자 목표를 세웠고 수소 제조 및 수소인프라 개발에 12억달러, 연료전지자동차 개발에 5억달러를 투자했다. National Hydrogen Light Duty(수소 승용차) 프로그램은 수소연료전지를 적용한 소형 자동차 및 인프라의 적용성 확인을 2015년까지 추진하는데 Ford, GM, 다임러 크라이슬러, 현대자동차 등 완성차 생산기업과 BP, Shell 등 정유기업들이 참여해 캘리포니아, 미시간, 플로리다 등 5개 지역에서 진행하고 있다. 또 National Fuel Cell Bus 프로그램에 따라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연료전지 버스 시범운행을 추진할 계획이다. 일본은 에너지 자급과 수소연료전지의 산업화를 위해 자동차 및 건물용 연료전지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표, 그래프 | 국내 미생물연료전지(MFC) 특허 출원동향 | 미생물 연료전지 특허 출원건수 비교 | 미생물 연료전지(MFC) 기술 특허 출원동향 | 세계 미생물 연료전지 특허 출원비중 | 미생물 연료전지 기술 분포 | 세계 미생물 연료전지 특허 출원동향 | <화학저널 2007/11/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두산, 수소연료전지 계약 추가 취소 | 2025-04-03 | ||
[배터리] 두산퓨얼셀, 연료전지 계약 해지 | 2025-04-01 | ||
[배터리] 바이오연료전지, 성능 8배 향상 | 2024-07-03 | ||
[배터리] 한화에어로, 수소연료전지 주도 | 2024-05-24 | ||
[배터리] 현대, 연료전지 사업 확대한다!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