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산업 분류 국가표준 제정
산자부, 국가정책ㆍ예산지원 가능 코드화 … 8개 항목 51개로 분류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신 성장동력 산업인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신뢰성 있는 통계분석자료에 따라 국가정책 및 예산지원을 할 수 있도록 바이오산업 분류를 코드화해 국가표준(KS)으로 제정했다고 1월29일 발표했다.바이오산업분야 세계시장은 2000년 540억달러, 2005년 910억달러로 연평균 14%의 성장을 이루며 비약적으로 발전을 하고 있고, 2005년 국내 바이오산업 총 수급도 전년대비 15.2% 증가한 3조5626억원으로 연평균 14%의 신장을 기록하고 있다.
분류코드의 분류대상 및 정립기준은 OECD 산업분류와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를 반영하고, 기업들이 바이오공학기술을 이용해 수행하는 산업 활동을 기반으로 연구개발 및 생산, 서비스단계에 바이오공학 기술이 이용된 산출물의 특성에 따라 바이오의약, 바이오화학, 바이오환경 등 8개 항목으로 하고 다시 각각 나누어 총 51개 항목으로 분류했다. 또 부속서에는 바이오산업의 범위 설정에 활용되는 생물공학기술에 대한 분류코드도 함께 수록해 미래 바이오산업 및 생명공학기술의 발전 비전을 반영했다. <김 은 기자> 표, 그래프: | 바이오산업 분류코드 구조 | <화학저널 2008/1/2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화학] 바이오산업, 투자비 3조원 넘겼다! | 2022-12-1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화학] 바이오산업 육성 서둘러야 한다! | 2024-12-20 | ||
[건축소재] 건축자재, 폐자재 리사이클 본격화 분류기술 강화 시급하다! | 2024-05-10 | ||
[백송칼럼] 바이오산업과 미국전략 | 2023-06-30 | ||
[바이오화학] 바이오산업, 화학산업 미래 좌우할 대안 일본 육성에 한국 지켜본다! | 202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