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건입동마을회, 건설 찬성에 합의 … 일부 주민들 반발로 갈등 SK에너지가 LPG를 독점으로 공급하고 있는 제주에 GS칼텍스가 도전장을 내민 가운데 LPG저장탱크 설치를 둘러싸고 주민들이 갈등을 빚고 있다.제주시 건입동마을회는 10월6일 마을이사회 임원과 통장 등 32명이 참석한 가운데 마을총회를 열어 GS칼텍스에서 추진하려는 LPG저장탱크 시설 설치를 찬성하고 최종적으로 합의해 주기로 결정했다고 10월7일 발표했다. 건입동마을회는 GS칼텍스가 들어오면 가격경쟁을 유도해 결과적으로 전체 도민에게 혜택이 돌아간다고 판단해 합의해 주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건입동마을회는 제주도의 현재 LPG 저장규모가 5-6일치에 불과하기 때문에 수급여건 개선이 필요하다는데 동의했다. 특히, 저장탱크의 철판두께를 규격보다 강화하고 시설 주변에 1.2m 두께의 방류둑을 설치해 가스 누출시 적기에 대처하는 등 안전성을 확보하기로 했으며 GS칼텍스측에서 마을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그러나 GS칼텍스 LPG저장시설 설치 결사반대추진위원회 이영수 위원장은 10월7일 오전 제주시청에서 “998톤의 가스가 폭발하면 부천 가스폭발 사건보다 수십배 이상의 인명과 재산피해를 낼 수 있다”라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또 “LPG저장시설 설치 예정부지 인근에는 18기의 유류저장시설이 설치되어 있는데 추가로 위험한 LPG 저장시설물을 설치하겠다는 것은 인근 주민을 더욱 불안에 떨게 하는 것이고 위험시설 외곽지 이전 정책에 역행하는 행위”라며 “LPG공급 사업자의 경쟁 체제의 목적이라면 시 외곽지에 저장시설을 설치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2000년, 2001년 GS칼텍스의 전신인 LG정유가 신청한 900톤의 가스저장시설 신청이 불허 처분됐으며 이에 불복한 행정심판도 패소했다”며 “마을 대의원들이 사업자의 쥐꼬리만한 인센티브 제공에 건입동민의 생명과 재산을 팔아먹는 매향노 행위를 하고 있다”라고 비난했다. GS칼텍스는 건입동 항만지구에 있는 자사의 유류저장시설 부지에 680톤의 LPG 저장탱크와 300톤의 프로판가스 저장탱크를 시설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주민 대표들과 6차례의 간담회를 가져 어렵게 동의를 이끌어 냈지만 일부 주민들의 반발로 다시 암초를 만난 셈이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08/10/0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GS칼텍스, 미국 관세정책 “타격” | 2025-05-09 | ||
[안전/사고] GS칼텍스, AI 적용해 정기보수 | 2025-04-15 | ||
[디지털화] GS칼텍스, AI로 디지털 전환 가속 | 2025-02-13 | ||
[화학경영] GS칼텍스, 정제마진 개선 “호조” | 2025-02-11 | ||
[바이오연료] GS칼텍스, 대규모 수소 허브 건설 | 2025-01-15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