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섬유 시장이 공급과잉과 가격하락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유럽 섬유산업의 경영부실이 심각해지고 있다. 서유럽, 일본, 미국산 합성섬유는 세계 시장 점유율이 40%로 떨어지면서 생산이 정체되고 있다. 생산능력이 확대되고 있는 곳은 아시아 뿐이다. 중국의 섬유생산은 96년 310만톤으로 점유율이 11%에 달해 서유럽 전체 합성섬유 생산량과 비슷하다. 특히, 대만의 270만톤 생산 및 한국의 210만톤(9% 증가)도 정체되고 있는 일본의 180만톤을 앞지르고 있다. 96년 세계 산업용 섬유 생산이 3% 증가한 반면, 유럽에서는 감소했고 특히, 세계 산업용 Polyester Yarn 생산이 20% 증가한데 비해 산업용 Viscose, Polyamide, Polyester Filament는 각각 4%, 11%, 5% 감소했다. 아시아 96년 세계 섬유산업은 7년간 재고량 감소에 따라 수급밸런스가 균형을 유지, 회복세로 돌아선 것으로 예상됐다. 96년 세계 섬유 재고량은 최종수요의 5%대로 90년의 20%에 비해 대폭 감소했고, 특히 합성섬유는 성장세에 들어선 것으로 나타났으며 면섬유는 재고 여유가 있어 당분간은 정체될 것으로 보였다. 미국의 합성섬유 재고는 모두 해소되었고 서유럽 및 일본도 거의 바닥난 상태이며, 중국의 재고는 정확한 파악이 곤란한 상황이다. 목화 흉작으로 인한 94년의 면섬유 부족현상으로 합성섬유 증설이 폭주, 이후 Polyester 산업은 고전을 겪게 됐다. 면부족은 일시적인 인조섬유 가격인상을 가져왔고 94년 수요증가에 따른 신증설 결과, 합성섬유 수요전망은 실제보다 높게 상정된 것으로 분석됐다 또 Polyester 가격급등과 일시재고 축적 등이 수요신장을 낙관하게 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표, 그래프 : | 서유럽의 섬유 생산능력 | 세계 섬유 생산능력 | 세계 Polyester 생산능력 | 세계 섬유 생산동향 | Polyester Yarn 및 Fiber 생산능력 | 세계 화학섬유 생산실적 및 생산능력 | 세계 섬유 생산현황 | 화학섬유 생산현황(1996) | 세계 섬유 최종소비량 | 세계 섬유 소비량(1995) | 1인당 섬유 소비량 | 세계 섬유 소비량(2000) | 세계 섬유 소비량(2005) | <화학저널 1997/9/2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제약] LG화학, 확대되는 난임 시장 공략 본격화 | 2025-10-23 | ||
[배터리] 음극재, 중국이 글로벌 시장 평정했다! | 2025-10-21 | ||
[화학무역] 화학무역, 인디아 시장 개척 총력전 | 2025-10-17 | ||
[농화학] 농약, 한국 시장 2조원대 성장 | 2025-10-14 | ||
[에너지정책] GS칼텍스, 데이터센터 냉각시장 선도한다! | 202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