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산업이 미래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관련기업들도 생물산업부문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으나, 아직 시작단계로 좀더 많은 투자가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LG화학, 녹십자, 종근당, 제일제당 등이 생물산업을 이끌어가고 있으나 생물산업부문에 10년이상 투자해온 LG화학과 녹십자만 이제 손익분기점에 도달했을 뿐 나머지는 아직 기약없는 결과를 위해서 투자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생물산업의 특성이 국내 대기업들의 투자를 주춤거리게 만드는 요소였으나, 화학산업이 포화점에 왔다고 판단되고 미래는 생물산업이 리드할 것이라는 예측 때문에 더이상 투자나 연구개발을 미룰 수 없는 상황이다. 국내 생물산업은 제약업계와 식품업계 위주로 성장하고 있고, 최근에는 화학기업들이 생명산업팀을 구성해 차세대 주력분야로 육성하고 있다. 또 벤처기업들이 속속 등장, 우수한 인력을 바탕으로 생물산업을 육성시키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그러나 국내 상황은 미국이나 유럽에 비하면 아직 미약한 수준이다. 미국의 생물산업 시장규모는 96년기준 108억달러, 유럽은 15억1700만달러(11억5800만Ecu)로 국내 3800억원과 비교가 되지않고 있다. 생물산업의 중요한 축을 이르고 있는 제약산업의 경우 100대 제약회사의 96년 신약개발 투자규모가 총매출액의 4.09%인 1668억원이었다. 세계 10대 제약기업의 매출규모는 각각 60억~120억달러에 이르고 있고, 10~15%인 10억~18억달러를 신약개발에 사용하고 있다. 이는 국내 제약기업의 개발비를 통틀어도 이들 외국 제약회사 중 하나가 투자한 개발비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국내에서는 정부에서 Biotech 2000이라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G-7과제라든가 선도기술개발이라는 명목하에 공동투자 등 장기적인 안목으로 집중 육성을 꾀하고 있으나 향후 세계의 경제 주도권을 잡기위해 더많은 지원이 요구된다. 표, 그래프 : | 유전자 재조합 부분의 특허출원 | 연구소 현황 | 특허만료에 따른 산업화추진 생물의약품 | 국내 생물산업관련 의약품 개발현황 | 생물산업 중 신약개발 비중(1996) | 국내 생명공학관련 의약품 시장규모 | 97년도 선도기술개발사업 연구비 내역 | <화학저널 1997/11/17>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농화학] 농약, 일본이 국내시장 “군침” | 2025-09-23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뱅크, 국내 SAF 시장 진출 | 2025-09-22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국내 PPA 사업 확대 | 2025-07-16 | ||
[신재생에너지] SKI, 국내 최대 해상풍력단지 가동 | 2025-05-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연료] SAF, 미국, 세제혜택 타고 성장 국내시장도 활성화 “기대” | 2025-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