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 들어 정체된 것으로 판단되던 주방용세제 시장이 제품 고급화를 통한 매출경쟁으로 불붙기 시작했다. 93년이후 성숙기로 접어든 주방용세제 시장은 800억원대를 형성하면서 95년까지 이어지다 근래들어 환경에 대한 관심이 절정을 이르면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96년 주방용세제 시장규모는 900억원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97년에도 970억원으로성장할 것이 기대되고 있고, 향후 소폭이나마 지속적인 시장확대가 예상된다. 주방용세제는 소비자들이 가정용 폐수가 환경오염의 주범이라고 인식하고 있고, 정부 및 사회단체의 지지로 각 기업들은 마케팅방향을 환경쪽에 맞춤으로써 천연계 계면활성제를 첨가해 제품이 주목을 받게 되었다. 국내 주방용세제 판매현황을 보면, 7개사를 기준으로 96년 8만8162톤을 판매, 95년 9만8712톤에 비해 10.7% 감소했으나 금액면에서는 96년 825억8800만원으로 95년대비 2.3% 증가했다. 특히, 합성세제 중 주방용세제는 소비자들의 손에 직접 접하는 경우가 많고, 세탁용세제보다는 적은 양을 사용하기 때문에 천연계 계면활성제 활용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소비자 인식도 식물성 세제쪽으로 넘어가고 있다. 주방용세제에서 주목해야 할 또 한가지는 Refill 제품에 대한 수요확대이다. Refill 제품은 출시된지 불과 2∼3년만에 총생산에서 물량으로는 60%를, 금액으로는 70%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환경에 대한 관심은 고농축세제를 등장시켰다. 세탁용세제에서는 보편화되어 있으나 주방용세제에는 미미한 고농축세제 시장에 제일제당이 참여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고농축세제가 50%를 차지하는 일본과 같은 돌풍을 일으킬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제품 고급화로 소폭의 성장이 기대되는 주방용세제 시장, 그러나 성장폭에 비해 신규진입하는 기업수는 빠르게 늘고 있고 암웨이나 스와이프 등 외국의 다단계 및 방문판매형 기업 진입이 속출하고 있어 앞으로치열한 접전이 예상된다. 표, 그래프 : | 주방용세제 생산·판매현황 | 주방용세제 시장점유현황(1996) | 주방용세제 시장규모 추이 | 주방용제세 시장점유율(1996) | 주방용제세 Refill 제품 생산현황(1996) | 주방용제세의 제품군별 시장점유현황 | 세제용 계면활성제 생산추이 | 일본의 주방용세제 시장점유현황 | 세제용 계면활성제 수요현황(1996) | 일본의 주벙용세제 시장규모 추이 | 주방용세제 시험결과 평가 | <화학저널 1997/11/24>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농화학] 농약, 일본이 국내시장 “군침” | 2025-09-23 | ||
[바이오연료] 현대오일뱅크, 국내 SAF 시장 진출 | 2025-09-22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국내 PPA 사업 확대 | 2025-07-16 | ||
[신재생에너지] SKI, 국내 최대 해상풍력단지 가동 | 2025-05-21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바이오연료] SAF, 미국, 세제혜택 타고 성장 국내시장도 활성화 “기대” | 2025-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