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R, 하·폐수 처리용 수요 확대
|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로 … 수질 향상 및 코스트 절감에도 효과적 하수·폐수 처리용 MBR 시장 전망이 밝게 나타나고 있다.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하수·폐수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고도처리시설 사용 비중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하수처리시설의 고도처리 사용 비중은 2007년 357개소 가운데 70%를 차지해 2001년 20개소에서 245개소로 12배 가량 증가했다. 특히, MBR(Membrane Bioreactor)을 이용한 고도처리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MBR 공법은 전처리공정인 스크린과 1단계 생물학적 공정인 표준 활성슬러지, 2단계 막분리공정(멤브레인)의 고액분리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1단계에서 유기물, 질소, 인을 제거하고, 2단계에서 크립토스포리듐(Cryp-tosporidium), 지아디아(Giardia) 등의 병원성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포함한 이물질을 걸러낸다. 기존 하수·폐수 처리시설은 물리화학적 공정이나 원수-유량조정조-폭기조-침전조-여과조-소독-방류수 과정을 거치는 활성슬러지 공정을 이용했다. 표, 그래프 | 국내 고기능성 수처리설비 시장 전망 | 수처리 기술의 변화 | <화학저널 2010/3/1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화학] Teijin, 중국 MBR 시장 본격 진입 | 2010-12-28 | ||
| [환경화학] SK에너지, 페수처리에 MBR 도입 | 2009-05-28 | ||
| [무기화학/CA] Vinnolit, CA 기술 Membrane 전환 | 2007-11-05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환경화학] 수처리, MBR 공급 경쟁 뜨겁다! | 2019-07-26 | ||
| [환경화학] MBR, 에코니티가 코오롱 제압 | 2014-08-2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