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LCA 도입 환경부하 저감 … 공급체인 전체에서 의식 공유도 일본 화학·소재산업에서는 저탄소경영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일본에서는 에너지절약법의 개정을 비롯해 Tokyo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Cap & Trade), 환경세 등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다양한 규제와 제도의 도입이 잇따르고 있다. 투자자들도 환경대책을 기업의 평가기준으로 정하고 의무화를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규제에 대응해나가는 뒷쫓기형 경영이 아닌 사전에 리스크를 분석하고 전략적인 대책을 세우는 미래형 경영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화학기업들도 사업 및 제품의 환경 부하를 가시화하는 LCA(Life Cycle Assessment) 도입이 활발해지고 있다. LCA는 원료 조달에서 제조, 운송, 사용, 폐기·리사이클 각 단계에서 CO2 배출량 등의 평가를 통해 개선점이나 우위성을 뚜렷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사업전략이나 투자, 차세대 기술개발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Sumitomo Chemical이나 Mitsubishi Chemical Holdings 등 여러 기업들이 CO2 배출량과 감축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 Toray는 환경부하의 감축과 지속적인 성장을 양립하기 위해 LCA와 LCC(Life Cycle Cost) 2가지 측면에서 환경효율을 이끌어내는 독자적인 툴을 구축하고 모든 사업 분야에서 운용하기 시작했다. Asahi Kasei도 LCC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LCA의 도입방법은 다양하지만 각 기업들의 공통목표는 CO2 배출량을 가시화함으로써 전사적인 규모로 PDCA 사이클을 채용해 환경에 대한 공헌도를 높여 저탄소 경영을 실현하는 것이다. CO2 배출량을 설비투자 결정의 주요지표로 활용하고 있는 Mitsubishi Rayon과 Kuraray를 비롯해 2010년 4월부터 사내에서 CO2를 재무 평가하는 Cap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Hitachi Chemical 등 LCA와는 다른 시점으로 CO2를 정량화하고 경영판단의 주요 지표로 활용하는 곳도 나타나고 있다. 저탄소 기업의 구축을 위해서는 공급체인 전체에서 대책을 세워야 하지만, 소비자들은 환경적인 배려보다 코스트로 제품을 선택하고 있다. 화학소재는 소비자가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태양전지나 가전제품의 에너지 절약, 친환경자동차 등에 크게 공헌하고 있는 화학소재를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나타나고 있다. <화학저널 2010/06/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디지털화] 화학기업, 버추얼 팩토리 주목하라! | 2025-09-26 | ||
[에너지정책] 화학기업, AI 에이전트 도입 본격화 | 2025-09-25 | ||
[화학경영] 화학기업, 수익성 개선 우선한다! | 2025-09-05 | ||
[화학물류] 화학기업, 물류비 부담 확대된다! | 2025-08-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화학기업, PBR 개선 시급하다! | 2025-09-1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