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년 올레핀 산업은 내수시장 위축으로 생산이 감소하고 수출도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현상은 97년 4/4분기 환율 폭등에 따른 국내 NCC 가동률 조정 및 주요 합성수지의 15~20% 감산으로 더욱 심화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12월들어 에틸렌 가격이 톤당 500달러이하로 떨어지고 프로필렌 가격은 310달러로 폭락하는 등 환율한파에 따른 나프타 구입난에도 불구하고 기초유분 가격은 하락세를 거듭했다. 더욱이 97년12월부터 시험가동중인 현대석유화학의 45만톤(실생산능력 55만톤) NCC가 98년부터 정상가동에 들어가고 LDPE 14만톤, HDPE/LLDPE 16만톤, PP 20만톤 공장도 곧 가동될 예정으로 있어 내수 및 수출 정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석유화학 시장에 파급을 몰고올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적으로는 동남아의 경기위축으로 타이의 일부 크래커 건설 프로젝트가 지연 또는 포기되고 있기는 하나, 일본의 신증설이 줄을 잇고 있으며 북미의 3개 플랜트가 97년 가동에 들어가는 등 98년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Westlake, Chevron, Union Carbide 등 3개사의 크래커는 97년 4/4분기 가동에 들어갔으며 Exxon, Huntsman 등은 98년 가동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추이를 반영할 때 석유화학제품가격의 근본적인 약세가 이미 시작되었으며, 2000년까지 약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표, 그래프: | 올레핀 생산 및 수급동향 | 에틸렌 생산능력 추이 | NCC 가동률 추이 | 올레핀 수급전망 | 올레핀 수요전망 | Ethylene 가격추이 | Propylene 가격추이 | Butadiene 가격추이 | 올레핀 수요동향 | 올레핀 생산능력 현황 | 합성고무 생산 및 수급동향 | <화학저널 1998/1/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싱가폴, 올레핀 수급타이트 장기화 | 2025-10-02 | ||
[올레핀] 프로필렌, 보합 속 수급 변수 주시 | 2025-07-30 | ||
[환경화학] PAC, 수급 타이트 심화 우려 | 2025-07-0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폴리머] 프로필렌, 중국 PDH 신증설로 수급 불안정 계속된다! | 2025-07-11 | ||
[무기화학/CA] CA, 중국발 공급과잉 확대에 수급 불균형 장기화한다!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