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침체 넘어 사양화 길… 국내 수산화마그네슘(Mg(OH)2) 시장은 2008년까지 탈황설비 확대로 장밋빛 미래가 예상됐지만 치열한 가격경쟁과 원료코스트 급등으로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수산화마그네슘 생산기업은 크게 합성을 통해 생산하는 포스코켐텍과 마그네사이트(MgCO3)를 이용해 산화마그네슘을 만든 후 물리적으로 분쇄하는 KG케미칼, 오성화학, 백광소재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합성 수산화마그네슘은 품질은 우수하나 가격이 비싸 2007년까지는 고순도제품을 요구하는 수요기업을 제외하고 수요가 많지 않았다. 반면, 마그네사이트를 수입해 생산하는 수산화마그네슘은 낮은 원료코스트를 바탕으로 시장의 주도권을 잡아왔으나 2008년 말부터 상황이 반전되기 시작했다.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국산 마그네사이트 가격이 치솟아 KG케미칼, 오성화학 등 천연 수산화마그네슘 생산기업들의 경쟁력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점유율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점도 수익성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국내 수산화마그네슘 시장규모는 35% 농도 기준 1999년 10만톤, 2002년 16만톤, 2003년 18만톤, 2004년 19만톤, 2006년 21만톤, 2007년 25만톤으로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2008년 24만톤, 2009년에는 20만톤 안팎으로 감소했다. 수산화마그네슘 시장점유율은 KG케미칼이 32%로 1위를 고수하고 있고 오성화학 20%, 포스코켐텍 20%, 백광소재 10%, 기타 18%로 나타나고 있다. 수산화마그네슘의 원료인 마그네사이트 수입량은 2007년 18만4920톤에서 2008년에는 17만7768톤으로 3.9% 감소했고 2009년에는 11만4637톤으로 35.3% 급감했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 일본 등으로 각각 10만2311톤, 7076톤을 나타냈다. 천연 “울상”에 합성 “방긋” 국내 수산화마그네슘 시장은 1990년대부터 환경용 수요증가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다. 특히, 대기환경 규제 강화로 배연탈황 설비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2000년대 중반까지 최고의 호황을 누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천연 마그네사이트를 이용하는 생산기업들은 저렴한 중국산을 이용해 높은 수익성을 달성했다. 반면, 합성 수산화마그네슘을 생산하는 포스코켐텍은 품질은 우수하지만 가격경쟁력에서 뒤처져 시장점유율이 10% 초반에 그쳤으나 2008년부터 상황이 반전되면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중국의 수출규제가 강화되면서 수산화마그네슘의 원료인 마그네사이트 가격이 급등하는 동시에 수급타이트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중국산 마그네사이트 가격은 2007년 톤당 100-120달러를 형성했으나 2008년부터 수출세와 관세가 부과되기 시작해 2008년 5월에는 톤당 350달러까지 치솟았다. 여기에 중국 정부의 원료 수출규제로 품질이 좋은 마그네사이트는 품귀현상까지 발생해 수요기업들이 2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2009년 10월에는 톤당 240달러대로 안정됐으나 수급타이트가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어 수요기업들은 품질이 낮은 제품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중국산을 대신해 북한산을 수입하자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지만 수입기업 및 수요기업들이 꺼리고 있어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북한산 마그네사이트는 중국산보다 품질이 우수하지만 정치적 상황에 따라 수입이 불안정해 수요기업들이 회피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그네사이트 수입은 2005년 15만4036톤(4100만달러), 2006년 16만2135톤(4500만달러)에서 2008년부터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해 17만7768톤을 7500만달러에, 2009년에는 11만4637톤을 4600만달러에 수입했다. 합성 수산화마그네슘을 생산하는 포스코켐텍은 안정적인 생산능력과 고순도 장점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표, 그래프 | 수산화마그네슘 시장점유율(2009) | 마그네사이트 수입동향 | <화학저널 2010/9/20·2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금속화학/실리콘] 마그밀, 수산화마그네슘 품귀 심각 | 2023-01-25 | ||
[무기화학/CA] 수산화마그네슘 공급불안 확산 | 2008-03-12 | ||
[무기화학/CA] 수산화마그네슘, 환경친화 난연제 | 2004-04-2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무기화학/CA] 수산화마그네슘 | 2008-03-24 | ||
[무기화학/CA] 수산화마그네슘 | 2005-10-24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