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 NTㆍBT 결합된 나노입자 이용 … 수율 높이고 부작용 줄여 국내 연구팀이 배아줄기세포에 특정 유전자를 주입시켜 원하는 세포로 분화시키는데 꼭 필요한 나노기술을 개발해 한국특허를 선점했다.제주대학교 줄기세포연구센터 박세필 교수팀과 미래생명공학연구소 NT(나노기술)와 BT(생명공학기술)가 결합된 나노입자(Nanoparticle)를 이용한 유전자도입 배아줄기세포의 제조방법에 대해 특허출원 3년만인 1월5일 특허를 획득했다고 1월26일 발표했다. 연구성과는 2008년 2월 국제학술지 Stem Cells & Development에 게재됐었다. 연구팀에 따르면,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생명공학계는 난치병치료를 위해 장기이식이 아닌 세포대체요법(Cell Replacement Therapy)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특히, 배아줄기세포는 성체줄기세포에 비해 다른 조직이나 장기로의 분화능력이 뛰어나 다양한 난치성 질환을 치료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박세필 교수팀은 수율이 낮고 부작용이 많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나노입자(Nanoparticle)를 유전자 주입 매개체로 사용했다. 나노입자는 200nm(1nm=10억분의1m) 두께로, 배아줄기세포의 분화에 필요한 유전자를 세포 속으로 정확히 전달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박세필 교수는 “장기간 줄기세포를 배양할 때도 안정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가능했다”면서 “무엇보다 최근 개발된 체세포 역분화줄기세포(iPS)를 임상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부작용 우려가 큰 바이러스 운반체를 대신할 수 있는 첨단 나노기술을 선점한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1/01/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제약] 나노기술로 류머티즘 치료제 개발 | 2014-05-28 | ||
[산업용가스] 실리콘, 나노기술로 고순도화 | 2013-05-14 | ||
[기술/특허] 나노기술로 반도체 한계 “극복” | 2010-08-24 | ||
[배터리] 나노기술로 고용량 2차전지 양산 | 2009-03-16 | ||
[바이오화학] 배아줄기세포 관련기술 일본 수출 | 2007-02-08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