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Mayo Clinic과 공동개발 협약 체결 … 2017년 3억-4억달러 성장
화학뉴스 2011.09.19
SK바이오팜은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과 루게릭병(ALS: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치료 신약을 공동으로 연구하는 협약을 체결했다고 9월18일 발표했다.
협약식은 9월16일 미국 뉴저지에 있는 SK바이오팜 현지법인에서 박상훈 SK바이오팜 사장과 메이요 클리닉의 레오날드 페트루첼리 박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루게릭병은 뇌와 척수의 운동신경이 손상돼 일어나는 퇴행성 뇌질환으로 병이 매우 빨리 진행돼 발병 3년 이내에 환자의 50% 이상이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루게릭병 치료제로 승인된 약물은 환자의 평균 수명을 약 3개월 정도 연장하는 수준이어서 근본적 치료가 가능한 신약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SK바이오팜은 연구의 목적이 루게릭병 환자의 평균 수명을 약간 늘리는 수준이 아니라 질병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상실된 뇌 기능을 회복하는 신개념의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SK바이오팜은 앞으로 3년간 루게릭병 질환단백질(TDP-43)의 연구 대가인 레오날드 페트루첼리 박사 연구팀과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이후 임상시험을 거쳐 희귀질환 신약(Orphan Drug)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임상시험이 성공하면 시장에 출시하거나 기술을 수출하는 것 외에 치매 및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도 적용할 수 있어 시장을 급속히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세계 루게릭병 치료제 시장규모는 2017년 2억3000만달러로 전망되지만, 근본적 치료가 가능한 신약이 개발되면 4억달러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박상훈 사장은 “공동연구는 SK바이오팜의 글로벌 연구개발(R&D) 역량을 기반으로 외부의 혁신적 아이디어와 기술을 융합하는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추진 성과”로 “앞으로 글로벌 수준의 연구개발 중심 제약기업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세계 유수 연구기관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화학저널 2011/09/1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제약] SK바이오팜, 영업적자 1311억원 | 2023-02-13 | ||
[제약] SK바이오팜, 매출 3464% 폭증 | 2021-05-13 | ||
[제약] SK바이오팜, 영업적자 25% 확대 | 2020-11-12 | ||
[제약] SK바이오팜, 주가 폭등에 “적자” | 2020-08-14 | ||
[화학경영] SK바이오팜, 207명 대박 날까? | 2020-06-30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