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딧불이 응용 LED 기술 개발
KAIST, 무반사 구조로 고효율 … 곡면형태 렌즈도 제작 가능
화학뉴스 2012.10.31
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바이오 및 뇌 공학과 정기훈 교수 연구팀이 반딧불이의 발광기관에 있는 나노구조를 모방한 고효율 LED(Light Emitting Diode)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월30일 발표했다.
KAIST에 따르면, 해당기술은 렌즈의 빛 반사를 98% 가까이 차단해 발광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기존에는 렌즈에 반사방지 코팅 처리가 필수적이었다. ![]() <무반사 구조>로 불리는 기술은 밝기의 효율을 향상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많은 분야에 활용돼왔으나 LED 렌즈 같은 곡면 형태에는 제작이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반딧불이를 모방해 문제를 해결했다. 반딧불이의 발광기관 외피층에 있는 나노 구조를 분석해 3차원 미세 몰딩 기법으로 생체 모사에 성공했다. 무반사 구조의 반구형 LED 렌즈 개발은 세계 최초라고 KAIST는 밝혔다. 정기훈 교수는 “해당기술을 통해 기존의 무반사 코팅보다 저렴하고 발광효율도 높은 렌즈를 만들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지(PNAS) 10월29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화학저널 2012/10/3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플래스틱] 필름, 최신 응용기술 한자리에… | 2025-09-19 | ||
[폴리머] PMMA, 해중합 응용한 CR 개발 | 2023-09-05 | ||
[리사이클] 리사이클, 마이크로파 응용 본격화 | 2023-02-17 | ||
[농화학] 게놈편집, 신규 작물 육종에 응용 | 2022-08-0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기술/특허] 양자컴퓨터, 2050년 실용화 목표로 경쟁 화학제품 개발·응용 기대한다! | 2023-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