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으로 민간사업자 참여 없어 … 2012년 생산목표 무산
화학뉴스 2012.11.13
광주시가 2012년부터 3000㎾가 넘는 전력을 생산하려는 계획이 무산됐다.광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대규모 태양광 발전사업이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시는 11개 공공시설 32곳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해 2012년부터 3160㎾ 태양광 전력을 생산해 공급할 계획이었다. 광주시가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할 계획이었던 공공시설은 서부 농수산물도매시장, 김대중컨벤션센터, 덕남정수장, 도시철도공사 본사, 옥동차량기지, 하수 제1처리장, 제2처리장, 염주체육관, 빛고을체육관, 세계광엑스포전시관, 광산구 인라인 경기장 등이며, 설치장소는 해당기관의 건물 옥상 또는 부지이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2011년부터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할 민간사업자를 물색했으나 사업자를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 사업비 100억원을 투자할 민간사업자가 선뜻 나서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공개입찰을 통해 태양광 전력을 판매해 수익을 올려야 하는 민간사업자들이 태양광 전력의 시장성에 대해 확신을 하지 못하고 있어 민간사업자를 선정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민간사업자 선정이 늦어짐에 따라 2012년부터 1년에 16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3160㎾의 전력을 생산하려는 계획은 무산됐다. 또한 광주시가 태양광 발전시설과 2013년까지 구축하려는 태양광발전 시험장(테스트베드)을 연계하려는 계획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된다. 광주시는 민간사업자가 태양광 설치 사업을 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고 한국전력 발전 자회사 1곳과 접촉을 하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2012년 안에 한국전력 발전 자회사 1곳을 태양광 설치 사업자로 선정해 2013년부터 전력을 생산하겠다”며 “태양광 설치 사업과 태양광발전 시험장을 연계래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발전시키려는 계획이 차질을 빚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2/11/1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화학경영] 한화솔루션, 태양광 호조 “흑자” | 2025-04-24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중국 태양광 수출 견제 | 2025-04-22 | ||
[신재생에너지] 한화큐셀, 차세대 태양광 기술 공개 | 2025-04-16 | ||
[화학경영] 한화솔루션, 태양광 수익 개선 기대 | 2025-04-07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인디아에서 중동으로 선회 | 2025-05-02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